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주원의 군(軍)고구마] 너도 알고 나도 아는 대한민국 군사비밀 ‘1q2w3e4r!’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주원 정치부 기자


‘1q2w3e4r!’

군대에 다녀온 사람이라면 익숙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이다. 우스갯소리로 ‘대한민국 1급 군사비밀’이라고 불리는 이 조합은 군대에서 사용하는 PC의 비밀번호로 널리 쓰인다.

군 PC 비밀번호는 통상 문자와 숫자, 특수문자를 결합해 10자 이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군대를 비롯한 정부 기관에서는 PC 비밀번호에 “10자 이상일 것”, “특정 문자가 연속되지 않을 것”, “1개월 주기로 교체할 것” 등의 보안 지침을 정해 놓고 있다. 지침대로 한다면 비밀번호가 복잡하게 구성되고 자주 바뀌어 좀처럼 알아내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해 보안성을 높이라고 했더니 오히려 이를 간단하게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우선 1q2w3e4r을 차례대로 중지와 검지를 이용해 빠르게 입력한 뒤 끝에 특수문자를 붙인다. 숙달되면 한 손가락으로만 칠 수도 있다. 끝에 붙는 특수문자는 처음에는 ‘!’를 시작으로 달이 바뀔 때마다 ‘@, #, $, %…’ 등 키보드 순서대로 설정한다. 1q2w3e4r이 지겨우면 부처별로 맞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기도 한다. 인사과의 경우 ‘인사1!’, 작전과는 ‘작전1!’ 등 기억하기 쉬운 비밀번호를 사용한다.
서울신문

군 PC 비밀번호를 문자와 숫자, 특수문자를 결합해 만들도록 하자 일선 부대에서는 키보드 왼쪽 귀퉁이의 문자, 숫자를 차례로 입력한 ‘1q2w3e4r!’를 널리 쓰고 있다. 서울신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쉽기만 하다면 다행이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릴까 봐 포스트잇에 크게 적어 PC에 붙여 둔 경우도 허다하다. 상급부대에서 보안점검을 올 때 떼 버리면 그만이다. 이쯤 되면 과연 비밀번호가 맞는지 의심스럽다. 비밀번호를 자주 교체하다 보니 바꾼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도 많다. 후임자에게 인계를 하려는데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는다. 기밀 파일을 열어 보려고 했더니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아 괜히 선임자를 탓하는 경우도 많다. 장병들도 이를 보며 오죽 답답했는지 군 기밀 사고를 다룬 기사에는 꼭 “1q2w3e4r이나 어떻게 좀 해 보라”는 댓글이 줄줄이 달린다.

최근 군 보안 의식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군 기밀의 산실로 불리는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대규모 군 기밀 유출 사건이 발생하며 군 보안이 쉽게 뚫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군다나 ADD에서는 보안을 위한 퇴직자 보안점검과 보안검색대 등 기초적인 보안 장치도 마련해 놓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전반적인 군 기밀 의식이 전혀 없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장병들의 휴대전화 사용이 지난 1일부로 전면 시행되면서 보안 의식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육군 장병들이 3급 기밀에 해당하는 암구호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체 대화방에 공유해 논란이 됐다. 병사들만 보안 사고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간부들의 경우 비교적 휴대전화 사용이 자유로운 탓에 보안 사고가 더 극심하게 발생한다. 보통 부대 간부들은 SNS 대화방을 만들어 업무를 공유한다. 사소한 대화부터 업무 얘기까지 자유롭게 나눈다. 민감하게 다뤄야 할 지휘관의 동선도 군 전화가 아닌 SNS 대화방을 통해 공유한다.

심지어 훈련 때도 간부들이 카카오톡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일부 군인 사이에서는 “전쟁 때 카톡 안 터지면 어쩌냐”는 얘기도 나온다.

간부들의 ‘온나라’(공문서 결재 시스템) ID와 비밀번호를 병사들과 공유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인사계 병사가 간부 ID로 몰래 휴가 결재 공문을 올려 휴가를 가려다 적발된 경우도 있었다. 최근 사회복무요원이 관리자의 문서 접근 권한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알아낸 다음 스토킹 범죄에 악용해 병무청이 대대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기도 했다.

왜 이렇게 보안 의식이 허술한 것일까. 야전부대 간부들은 관리 편의성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고 말한다. 후방부대의 한 작전장교는 “내가 관리해야 하는 군 전자기기만 해도 3개가 넘는다”며 “모든 기기에 비밀번호를 다 다르게 설정하면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기 십상이라 편의적인 측면에서 어쩔 수 없다”고 호소했다.

군에서 보안은 기밀 유지의 핵심이다. 보안이 뚫리면 군이 무너지게 된다. 편리함에 익숙해져 보안 의식을 소홀히 한다면 군이 무너지는 건 순식간일 것이다. 어느 때보다 간부들 스스로 보안 의식에 더 민감해져야 할 순간이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