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중기부 ‘포스트 코로나 계산서’ 3.6조원...비대면·소상공인 지원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상공인 대출 후속 조치에 2조8000억원

비대면 산업 육성에 5920억원…포스트 코로나 대비

[헤럴드경제 도현정 기자]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가 지난 3일 국회에서 확정된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자금 3조 6114억원을 확정했다. 소상공인 지원과 더불어 비대면으로의 경제 체질을 개선하는데 주력했다.
헤럴드경제

중기부의 3차 추경안 중 가장 많은 예산이 집중된 분야는 소상공인 금융지원이다. 코로나 특례보증 공급을 위해 신용보증기금(2조4384억원), 기술보증기금(1802억원) 출연금을 지원 했고, ‘코로나 대출’로 건전성이 흔들리는 16개 지역신용보증재단에 기본재산을 출연(800억원)했다. 지역신용재보증 예산은 469억원, 소상공인 직접 대출 예산은 500억원이 확정됐다.

소상공인 분야에는 온누리 상품권 발행에 1380억원, 소상공인 재기지원에 90억원 등 골목상권 경기 진작 예산도 편성됐다. 단순히 내수를 진작하거나 자금을 지원하는데에서 벗어나 전국 38개 전통시장에 디지털 매니저를 파견, 온라인 판로 개척을 도모하는 등(8억원) 적극적인 체질 전환에 나설 계획이다. 소상공인들이 최근 각광받고 있는 라이브커머스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판매 지원 사업에도 90억원이 쓰인다.

온라인·비대면 분야 육성도 예산 5900억원이 확정될 정도로 큰 축으로 자리잡았다. 이 중 비대면, 바이오, 그린뉴딜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스마트대한민국 펀드를 조성하는데 2000억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비대면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 예산은 3114억원으로 정해졌다. 이 예산은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 등에 화상회의, 온라인 교육 등 비대면 플랫폼을 보급하는데 쓰인다.

중기부는 비대면 서비스 양성에 청년 창업을 접목하는 사업도 기획했다. 비대면 분야 대상으로 유망 창업 아이템을 겨루고, 우수팀 30곳에 초기 사업자금과 멘토링을 제공하는 비대면 청년 창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에 예산 20억원이 신규로 편성됐다. 중기부는 이를 통해 코로나19에도 늘어나고 있는 청년 창업수요에 대응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스타트업을 신속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