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나노필터 마스크' 유해 논란 가열…시민단체 "대구시 직접 나서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이텍 "잔류량 단위와 환산 착오…식약처 기준 이내"

시민단체 "식약처에서 안전성 허가한 적 없어"재반박

아시아경제

사진은 지난 2일 대구시교육청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유행성 논란이 일고 있는 마스크의 전량 회수 등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대구시민사회단체들이 일선 학교 등에 보급된 교체형 나노필터 마스크에 대한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제조사와 대구시를 연일 압박하고 있다.


대구시염색공단 산하 섬유염색가공연구원인 개발업체 다이텍(DYETEC)에 대해서는 세부 자료 요구를, 대구시에는 진실 규명을 위한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설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참여연대와 대구의정참여센터는 6일 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다이텍은 (나노필터 마스크의) 식약처 의약외품 품질기준을 통과했다고 했으나 이는 거짓"이라면서 "식약처 고시는 '교체용 폴리프로필렌 필터 부착포'에 대한 것으로, 다이텍이 나노필터에 사용한 '폴리아릴이서설폰' 고분자는 이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앞서 다이텍은 지난 30일 성명을 통해 "대구참여연대가 마스크에서 약 40ppm이 나왔다는 주장하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검출량은 환산시 1㎏당 40㎎에 해당한다"며 "다이텍 마스크 1개당 DMF 잔류량은 개당 0.016㎎으로 식약처 의약품 잔류용매 기준 1일 노출 허용량 8.8㎎에 한참 미치지 못해 인체에 안전하다"고 해명한 바 있다. 시민단체의 주장은 잔류량의 단위를 환산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착오라는 얘기다.


참여연대 등은 이와 관련 "식약처는 '나노필터 마스크는 안전성 문제로 허가된 적이 없으며, 마스크에서 미량이라도 DMF가 검출돼서는 안 된다'고 했다"며 식약처의 입장을 전한 뒤 "다이텍은 DMF 시험성적서와 식약처 품질기준 시험자료 등 일체의 자료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이 사태는 공산품으로 분류된 가습기살균제 성분이 호흡기로 흡입될 때 발생하는 독성 연구가 되지 않아 피해자 발생 때까지 아무런 제재가 이뤄지지 않은 사태와 유사하다"며 "나노필터 마스크도 보건용이 아니라 공산품이고 온종일 호흡기로 흡입될 때 얼마나 유해한지 검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이들 안전이 걸린 문제를 두고 더는 공방만 하고 있을 수 없으므로 대구시가 문제해결에 직접 나서야 한다"면서 "내일(7일)까지 시의 답변이 없다면 공인된 기관에 검사 의뢰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제의 교체형 나노필터 1000만개는 면 마스크 100만장과 함께 지난 4~5월 대구 염색공단 취약계층과 학생들에 배포됐다. 특히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4월 대구시에서 12억원을 지원받아 초·중·고와 유치원 등 801곳에 면마스크 30만장, 교체필터(나노) 100만장을 보급했다.


하지만 지난 6월23일, 보급된 마스크의 나노필터에서 간에 치명적이라고 알려진 유해물질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검출됐다는 의혹이 한 언론에 보도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해당 마스크의 유해성 논란이 일자 대구교육청은 즉시 일선 학교에 공문을 보내 안전성에 대한 결론이 나올 때까지 학생들에게 마스크 사용 중지 조치를 내렸다.


이어 지난 2일에는 대구참여연대와 전교조 대구지부 등 47개 단체로 구성된 '코로나19 사회경제 위기대응 대구공동행동'이 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필터(나노) 교체용 면마스크 사용 실태 파악과 전량 회수를 촉구하며 다이텍의 '나노필터 마스크'의 유해 가능성을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pdw12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