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특허전략지원사업, 디지털·그린뉴딜 확대적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부, 특허청과 함께 민·관 정책협의회 개최

혁신기업 숙원 '자산 가치평가' 강화…금융권 조달↑

아세안 10국·UAE·사우디 협력…신남방·신북방 협력확대

공공데이터 공개 늘려…"포스트 코로나 전략수립"

미래차·드론·AI·신재생에너지·IoT가전 특허 분석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정부가 특허전략지원사업(IP R&D)을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등에 확대 적용한다. 혁신기업의 숙원이었던 자산 가치평가 강화를 통한 기술금융 확대로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숨통을 틔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오후 3시 박원주 특허청장 등 특허 공공기관, 우수 중소·중견기업 대표들과 함께 민·관 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지식재산 기반의 산업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산업부와 특허청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해 소재·부품·장비 기술 국산화를 위해 협력했다. 20대 품목 등 소부장 핵심 품목 특허 72건을 창출하고, 중소기업 특허 분석을 지원해 R&D 기간을 평균 6개월 줄였다.


아시아경제

경상남도 창원시 LG전자 연구개발(R&D)센터에 있는 물과학연구소 직원들이 연구를 하는 모습.(사진제공=LG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산업 지능화, IP-R&D, 지식재산금융, 해외 진출 등에서 정책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


특허, 표준, 인증, 연구개발(R&D), 에너지 등 공공데이터 개방과 공유를 늘린다.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산업에 적용해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지난달 18일 개소한 특허 빅데이터 센터를 통해 미래차와 드론, AI, 신·재생에너지,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 5개 업종의 특허 분석을 해 산업부의 포스트코로나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한다.


지난해엔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소산업, 차세대전지, 바이오헬스 등 분석을 했다.


앞으로 전문가의 '감' 위주로 R&D를 기획하지 않고, 과학적인 특허 데이터를 중심으로 방향을 짠다. IP R&D는 기술개발 초기에 특허를 분석해 최적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IP R&D를 소부장 분야에 적용해 산업부가 300여개 과제를 뽑아냈다. 올해엔 다른 분야, 특히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등에 적용한다.


금융권에서 우수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키우고, 특허를 담보로 금융 지원을 받도록 한다.


산업부와 특허청이 함께 90억원의 가치평가 비용을 지원한다. 기술은행(NTB), 온라인 특허 거래 플랫폼(IP-Market) 등을 통한 기술거래 정보 공유를 확대한다.


신남방, 신북방으로의 보폭을 늘린다. '한-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산업기술혁신기구'와 연계해 특허청의 특허 시스템을 보급한다.


우리 특허청은 세계 20개국의 국제조사를 대행하고 있다. 현재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에 지재권 전문가를 보내 심사를 대행하는 중이다.


또 'K-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해 '해외지식재산센터'를 중동과 중남이 신흥국으로 확대한다. KOTRA에서 해외 진출 예정 기업을 발굴하고 지재권 교육 등을 한다.


성 장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무턱대고 앞으로 나가기보다 최적의 방향을 찾기 위해 심사숙고해야 한다"며 "그간 쌓아온 객관적이고 가치 있는 데이터인 특허를 바탕으로 산업정책 방향을 설정한다면 정책 추진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 이후 특허청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향후 업종별 정책협의회를 지속 개최해 논의를 구체화한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