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인권변호사·시민활동가·최장수 서울시장…파란만장했던 삶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故 박원순은 누구

학생운동 구속·제명·사시 합격

미국 문화원·말지사건 등 변론

보궐선거로 입성 서울시장 3선

시민사회·노동계 포용정책 펼쳐

한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올라

헤럴드경제

1980년 제22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검사 임용 1년 만에 박차고 나와 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사시 동기인 문재인 대통령이 1982년 사법연수원을 차석으로 수료할 당시 함께 찍은 사진.(맨 위쪽) 박 시장이 1998년 참여연대 사무처장으로 활동하던 시절 모습. 국가개혁을 위한 시민행동계획을 발표하고 있다.(두번째 사진) 2011년 8월 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의 한 식당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 단일화에 합의한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 대학원장이 끌어안고 있다. 당시 이 모습은 지지율 5%(박원순)를 위해 물러난 지지율 50%(안철수)의 ‘아름다운 양보’로 큰 화제가 됐다.(세번째 사진) 박 시장이 2011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후 꽃다발을 들고 환하게 웃고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故)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은 역대 가장 오래 재임한 행운의 서울시장이었다. 하지만 그의 서울시장 임기는 3180일에서 비극으로 멈춰 섰다.

경남 창녕 출신인 박 시장은 만 55세이던 2011년 10월 27일 시민운동가에서 서울특별시장으로 변신했다.

박 시장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당시 서울시의회를 장악한 민주당이 요구한 100% 무상급식에 반대하며 선별적 무상급식을 주장하며 시장직을 걸고 주민투표를 벌였다가 물러난 뒤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나경원 한나라당 후보를 제치고 당선됐다.

오 전 시장의 남은 임기 2년8개월을 넘겨받은 박 시장은 ‘토목 건축은 안 하겠다’는 공약을 지키기 위해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냈다. 행정에서는 ‘디테일’을 강조하며 보도블록이 파손된 것까지 챙기는 세심함을 보이기도 했다.

또 보궐선거에서 도움을 준 민주당, 노동계 그리고 시민사회단체 출신 인물들을 대거 서울시로 데려와 시정 곳곳에 배치했다.

그의 서울시장 3선은 행운의 연속이었다. 2014년 6월 4일 지방선거에서는 현직 시장으로서 정몽준 당시 새누리당 후보의 도전을 따돌리고 서울시장 수성에 성공했다.

재선 성공을 계기로 박 시장은 대권 주자 반열에 올라섰다. 특히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과잉대응이 낫다”는 말을 내세우며 전격적으로 투명한 정보공개를 단행하는 등 결단력을 과시하며 한동안 여론조사에서 대권 주자 선호도 1위에 오르기도 했다.

2018년 6월 14일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보수가 자멸한 상황에서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와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를 가볍게 제치고 3선에 성공해 2022년 6월 30일까지 임기를 보장받았다.

보장된 임기를 모두 마쳤더라면 서울시장으로 11년8개월여간, 일수로는 3900일 간 재직하고 물러날 예정이었다.

전임자인 이명박 시장의 청계천·버스환승시스템, 오세훈 시장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광화문광장, 한강4대공원 조성 등과 같은 ‘한 방’이 없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늘 “그게 정치적으로 맞는지는 몰라도 나는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내 삶을 바꾸는 게 정치라고 생각한다”고 말해 왔다.

박 시장이 마지막으로 직접 발표한 정책은 지난 8일 ‘서울판 그린뉴딜’이었다.

당시 그는 “세계가 혼란스럽고 방황할 때 저희는 확고한 비전을 가지고 가면 새로운 산업화는 따라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대비하는 대대적 친환경 정책의 밑그림을 내놨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대선 행보를 가속화 하는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박 시장은 서울시장에 출마하며 정계에 입문하기 오래전부터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다.

1994년 참여연대 설립을 주도한 박 시장은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이 단체에서 사무처장으로 일하면서 한국 시민운동을 진화시켰다.

1995년 사법개혁운동, 1998년 소액주주운동, 2000년 낙천·낙선운동 등 굵직한 시민운동마다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이에 앞서 박 시장은 인권변호사로 이름을 날렸다. 학생운동으로 구속돼 서울대에서 제명된 뒤 단국대에 입학해 1980년 제22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1982년 사법연수원 12기 수료와 함께 검사로 임용됐으나 술문화와 사형 집행 장면을 참관하지 못하겠다는 이유로 1년 만에 검찰을 떠났다. 이후 박 시장은 ‘인권변호사의 전설’인 고(故) 조영래(1947∼1990) 변호사와 함께 일하면서 부천서 성고문 사건, 미국 문화원 사건, 말지(誌) 보도지침 사건 등의 변론을 담당하며 인권변호사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1990년대 중반에는 ‘서울대 성희롱 사건’의 변호인 중 한 명으로 활동, 국내 첫 성희롱 사건에서 승소하기도 했다. 이진용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