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美 국가안보 위협 '틱톡'으로 확대...사업 전면 매각(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틱톡 로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동영상 공유 소셜미디어 ‘틱톡’이 미국 내 사업을 완전히 매각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틱톡에 대한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하자, 내놓은 처방이다. 화웨이와 ZTE(중싱통신),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등에 이어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한 미국 압박이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 사안에 2명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미 대통령의 틱톡 사용 금지를 밝힌 뒤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인터넷 기업 바이트댄스가 미국 백악관과 합의점을 찾기 위해 틱톡의 미국 사업을 전면 매각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바이트댄스의 이런 양보는 틱톡을 금지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위협이 단순한 협상 전술인지, 미국에서 매일 최대 8000만명의 사용하는 틱톡을 단속하려는 의도인지 시험하는 것이라고 SCMP 등은 분석했다.

바이트댄스는 당초 마이크로소프트(MS)와 틱톡의 미국 내 사업 매각 협상을 벌이면서 소수 지분은 여전히 유지하려 해왔다. 그러나 백악관이 이를 거부하면서 바이트댄스는 미국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MS가 이를 인수하는 거래안을 새로 제안했다.

매각이 성사될 경우 앞으로 MS가 모든 미국인 이용자 정보를 보호할 책임을 갖게 된다. 다만 MS 이외의 다른 미국 기업이 틱톡을 인사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미국에 기반을 둔 바이트댄스의 일부 투자자들에게도 틱톡의 지분 일부를 확보할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바이트댄스 외부 투자자 중 약 70%가 미국 출신이다.

그러나 미 백악관은 바이트댄스의 이런 제안을 수락할지 여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바이트댄스도 논평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MS 역시 답변이 없었다고 SCMP는 전했다.

이로써 무역, 코로나19 확산 책임론, 화웨이, 홍콩 국가보안법, 지적재산권, 신장위구르자치구 인권, 남중국해 영유권 등에 이어 틱톡이 세계 2대 경제간 분쟁의 발화점으로 새롭게 부상하게 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제 안보 문제를 고리로 화웨이와 같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틱톡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재가 시작된 셈”이라고 분석했다.

바이트댄스는 미국의 압박 속에서 다양한 옵션을 검토해왔으며 일부 투자자들로부터 세쿼이아캐피털, 제너널애틀랜틱 등 미국 벤처캐피털 업체에게 소유권을 양도하자는 제안을 받아왔다. 틱톡의 기업가치는 500억달러(약 60조원)지만 일부 바이트댄스 경영진들은 이 앱이 그 이상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2017년 상하이에 기반을 둔 립싱크 앱임 뮤지컬리를 10억달러(약 1조1600억원)에 인수한 뒤 이듬해 틱톡을 출시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미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CFIUS는 지난해 11월 이를 문제 삼아 틱톡이 국가안보에 위험이 되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CFIUS는 외국인의 인수 거래가 국가안보 위험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기구다.

중국 바이트댄스의 기업가치는 2018년 말 750억달러(약 90조원)에서 올해 1400억달러(약 169조원)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반면 중국 매체는 “정치적 억압”이라며 오히려 역효과를 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전문가를 인용, “미국 시장에 대한 기업의 신뢰를 떨어뜨려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의 중국 회귀 추세를 가속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