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美, 중국 '소프트웨어'까지 때리기... '틱톡' 사용 금지 예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웨이와 함께 中 '기술굴기' 상징 정조준
MS에 지분 전량 매각 제안도 성사 불투명
겉으론 안보위협, 속내는 '정치 영향' 방어
한국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중국의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인 틱톡의 미국 내 사용 금지를 예고해 논란이 일고 있다.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젊은 층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중국의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의 자국 내 사용 금지를 예고했다. 국가안보를 명분 삼아 하드웨어(화웨이)에 이어 소프트웨어로 중국 정보기술(IT) 제재 범위를 확대하면서 가뜩이나 경색된 양국관계가 더욱 악화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틱톡의 사용을 막을 것”이라며 비상경제권법이나 행정명령을 동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1일 문건에 서명하겠다”고 공언했다. 그의 언급은 마이크로소프트(MS)가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로부터 틱톡 사업권을 인수하기 위해 협상 중이라는 보도 직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거래는 성사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MS 인수에도 부정적인 의견을 드러냈다. 앞서 대중 강경파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도 “틱톡이 미국에 팔린다고 정부의 우려가 덜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수십억달러를 중국에 줘야 할 수 있어 더 나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일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아 틱톡의 사용 금지나 MS 인수 여부는 불분명한 상태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MS 인수를 선호하는 등 정부 내 입장도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도 이날 오후 “정부는 계속해서 (틱톡에 관한) 향후 정책을 평가하고 있다”며 의견 조율이 끝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변수는 물론 있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당초 MS와 협상하면서 소수 지분을 유지하려 했으나 트럼프 언급 이후 지분 전량을 매각하고 향후 3년간 일자리 1만개를 창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해당 제안을 놓고 트럼프 입맛에 맞는 거래가 이뤄질 경우 매각이 전격 성사될 가능성이 남아 있는 셈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틱톡을 정조준한 이유는 엄청난 파급력 때문이다. 틱톡은 15초 분량의 짧은 동영상. 특수효과 편집이 가능해 앱 다운로드 건수가 20억건이 넘을 만큼 전 세계 젊은이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미국 내 이용자만 1억6,500만명에 달한다. 화웨이와 더불어 중국 '기술굴기'의 상징인 것이다.

미 정부는 표면적으론 국가안보 위협을 틱톡 규제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중국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해 일부 콘텐츠를 검열하거나 미국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빼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틱톡은 앱 사용자의 나이 이름 비밀번호 등 등록 정보는 물론, 위치정보와 접속ㆍ검색 기록 등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반면, 보안에는 취약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다국적 보안업체 체크포인트는 지난해 12월 “해커들이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버그를 틱톡에서 상당수 발견했다”고 공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치적 영향력’이 틱톡을 퇴출하려는 진짜 목적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단적으로 트럼프 대선 캠프는 6월 오클라호마주(州) 털사에서 열린 대규 유세 흥행에 참패했는데, 당시 유세장 티켓을 예매해 놓고 가지 않는 '보이콧 운동'을 주도한 핵심 세력이 틱톡 이용자들이었다. CNN방송은 “‘털사의 악몽’이 많은 중국 기업 중에서도 틱톡을 타깃 삼은 이유”라고 지적했다.

화웨이에 이어 틱톡까지 미국이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전방위 옥죄기에 나서자 중국도 발끈했다. 중국 매체 신경보(新京報)는 이날 “틱톡이 미 국가안보에 어떤 피해를 끼치는지 아무런 근거도 없는 상황에서 금지하겠다는 건 명백한 정치적 행위”라며 “미국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리는 자멸수”라고 맹비난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도 전문가를 인용해 “근시안적인 정치 억압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워싱턴= 송용창 특파원 hermeet@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