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틱톡만의 문제가 아니다”…미, 중국 업체들에 추가 조처 시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폼페이오, “트럼프, 중 소프트웨어 업체 며칠 안에 조처할 것”

한겨레

마이클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2일(현지시각) 틱톡에 이어 다른 중국 기업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제재 조처를 할 수 있다고 내비쳤다. 틱톡 로고와 미국 및 중국 국기.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웨이에 이어 짧은 동영상 공유 소셜미디어 틱톡을 공격하고 있는 미국이 다른 중국 소프트웨어 업체들로 제재를 확대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홍콩 문제를 계기로 급격하게 악화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중국 기업 문제로 확산되며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정부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국 소프트웨어 회사들에 대해 며칠 안에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2일(현지시각)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폭스 뉴스>의 ‘선데이 모닝 퓨처스’ 인터뷰에서 중국 소프트웨어의 국가 안보 위험을 강조하면서 이렇게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충분히 말했고 우리는 그것을 고칠 것”이라며 “그(트럼프)는 앞으로 며칠 안에 중국 공산당과 연결된 소프트웨어 때문에 제기되는 광범위한 국가 안보 위험에 대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이것들은 진정한 국가 안보 문제이며 미 국민에게는 개인정보 문제이기도 하다”며 “우리는 해결책을 마무리 짓고 있으며 곧 대통령의 발표를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있는 중국 소프트웨어 회사와 관련해 “그것이 틱톡이든 위챗이든 관계없이, 무수히 많다”고 말하기도 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 언급은 미국의 조처가 바이트댄스의 인기 소셜미디어 앱 틱톡을 넘어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이날 <에이비시>(ABC) 방송의 ‘디스 위크’와 인터뷰에서 틱톡이 미국 내 사업 매각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외국 기업 거래의 국가 안보 영향을 검토하는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이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을 미국 내에서 사용 금지하겠다고 말했다. 틱톡의 개인정보를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공산당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는 게 트럼프의 주장이다.

이런 미국의 압박에 대응해 바이트댄스는 미국내 틱톡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사업을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기업들에게 넘기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이 1일 보도한 바 있다. 이어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와 전화 통화한 뒤 ‘틱톡’ 인수 협상에 45일의 말미를 주는 데 동의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트댄스의 수정 협상안에 동의하는 뜻으로 풀이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날 자사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바이트댄스와 협상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며 인수 협상 타결 시점을 9월15일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