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45일 내에 MS에 틱톡 팔아라”··· 중국 기업 틱톡, ‘미국 기업’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의 금지를 선언한 데 이어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에 미국 내 틱톡 사업을 45일 내에 마이크로소프트(MS)에게 매각하라는 통보를 했다.

로이터는 2일(현지시간) 소식통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에 MS와 매각 협상 시간을 45일 주는 데 동의했다'고 전했다. 사실상의 '최후통첩'이라는 분석이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한 뒤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틱톡 인수 협상을 9월 15일까지 마무리 짓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MS는 틱톡 인수 과정에서 미국 재무부 등의 안보 심사를 받을 것'이라며 '미국에 제대로 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겠다고 약속드린다'고 피력했다.

백악관, MS, 바이트댄스는 '45일 내 매각'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MS의 성명이 트럼프 대통령과 나델라 CEO의 대담 뒤에 나온 만큼 45일 내 매각하라고 통보했다는 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책에 바이트댄스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미국의 법률을 준수한다'며 '적극적으로 법류이 부여한 권리를 이용해 회사의 합법적인 권익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말한 데 이어 MS 등을 대상으로 하는 매각 절차에도 미국 정부가 관여하는 데 대한 법적 투쟁을 예고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틱톡 이용자들의 견제로 선거 유세에 난항을 겪은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 선거 유세를 앞두고 트위터를 통해 '선거 유세에 100만명 이상이 신청했다'고 알렸으나 선거 유세 당일 현장을 찾은 것은 6200여명에 불과했다. 틱톡 이용자들이 선거 유세에 티켓을 등록하고 가지 않는 '노쇼' 캠페인을 벌였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