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틱톡 금지 후폭풍 두려웠나‥MS, 45일내 인수 공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수 반대하던 트럼프, 틱톡 사용금지 젊은층 분노 우려?

MS 인수시 미국 개인정보 中 유출 차단가능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는 9월15일까지 동영상 공유앱 틱톡 인수를 마무리하겠다고 2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MS는 이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틱톡 서비스 인수협상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한 사실을 공개한 뒤, 틱톡 인수를 추진해 왔다고 소개했다.


MS는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에 틱톡 인수추진 사실을 이미 통보했음도 밝혔다. 앞서 이날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은 CFIUS에서 틱톡에 대한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 정부와 인수 주체 모두에서 틱톡의 매각이 추진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MS가 미국 내 틱톡의 운영권을 확보할 경우 중국으로의 개인정보 이전 우려는 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 한 주요외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트댄스 측에 45일 이내에 MS와의 매각 협상을 마무리하도록 했다고 보도했다. 틱톡 금지 조치까지 유예기간을 주고, 기간 내 매각을 완료짓도록 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MS는 성명에서 이번 인수가 트럼프 대통령의 희망에 따른 것임을 인식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MS는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틱톡 인수에 있어 미국 재무부 등에서 안보 심사를 완전하게 받을 것이며 미국에 제대로 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한다"고 설명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MS의 틱톡 인수를 반대해 양사간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연이어 MS의 틱톡 인수를 지원하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상황 변화는 미국 내 틱톡 사용을 금지할 경우 벌어질 후폭풍을 고려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워싱턴포스트는 틱톡 사용이 금지될 경우 청년층이 중심이 된 1억명에 이르는 미국 내 틱톡 사용자들이 대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반트럼프 진영에 설 것이라고 보도했다. 포스트에 따르면 틱톡 이용자들은 이미 틱톡 사용 금지 시 행동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틱톡 이용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재개된 오클라호마주 털사 유세를 텅 비게 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정치적 영향력이 확인되기도 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즈도 3일 트럼프 정부의 틱톡 금지 추진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정치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틱톡 사용금지 행정명령을 내리면 미 젊은층의 분노가 폭발할 것이며 이로 인해 안 그래도 부정적인 재선 가능성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틱톡 매각작업이 급물살을 타기 전에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 그만'(enough)이라고 말했고 우리는 그것을 고칠 것"이라며 "그는 앞으로 며칠 안에 중국 공산당과 연결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시되는 광범위한 국가 안보 위험에 대해 조처를 할 것"이라고 예고했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우리는 해결책을 마무리 짓고 있으며 곧 대통령의 발표를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폼페이오 장관은 "이것들은 진정한 국가 안보 문제이며 미 국민에게는 개인정보 문제이기도 하다"며 "그것이 틱톡이든 위챗이든 관계없이, 무수히 많다"고 말하기도 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은 최근 미 정부의 압박이 틱톡에게 집중돼왔지만, 목표 대상이 그 이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 미 언론들은 주목했다. 앞서 지난달 초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ㆍ제조업 정책국장도 위챗에 대한 규제를 예고한 바 있다. 위챗은 중국 텐센트가 운영하는 점유율 1위 채팅앱이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as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