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강세 토픽] 2차전지 - 배터리 생산 테마, LG화학 +3.15%, SK이노베이션 +2.7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차전지 - 배터리 생산]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59% 상승세이다. LG화학(051910)+3.15%, SK이노베이션(096770)+2.70%, 삼성SDI(006400)+1.9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전기차 배터리용 2차전지 배터리팩을 이루는 셀과 모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 정리. 일반적으로 전기차 배터리는 '셀(Cell) → 모듈(Module) → 팩(Pack)'으로 구성.
전기차 가동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수천 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터리 셀이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천 개까지 필요. 이에 따라 배터리 셀을 여러 개 묶어서 모듈을 만들고, 모듈을 여러 개 묶어서 팩을 만들어 전기차에는 최종적으로 배터리가 하나의 팩 형태로 들어가게 됨.
그동안에는 배터리 셀 성능에 대해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모듈과 팩 기술을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느냐가 경쟁력. 전기차에 최종적으로 탑재되는 형태는 팩 형태이기 때문.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이 얼마나 슬림하냐에 따라 전기차의 디자인이 바뀔 수 있음.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친환경 트렌드와 꾸준한 기술 발전으로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터리 생산업체들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설비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는 중. 한국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들은 유럽 지역에 2018년까지 약 1조6000억원을 설비 투자한 데 이어 2019년 초 총 2조1560억원의 추가 투자계획을 결정.
또한 각국 정부의 환경규제 및 보급 지원 정책에 영향을 받음. 특히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의 보조금 지원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 중국은 2016년 초부터 자국 배터리 기업 육성을 위해 한국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음. 이에 국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들은 사실상 중국 내수 사업을 중단한 상태.
다만 중국 정부가 2020년 이후부터는 보조금 전면폐지를 공언한 점은 긍정적 요인. 또한 LG화학과 삼성SDI의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자동차가 중국에서 보조금 지급의 전 단계인 형식승인을 통과해 다시 중국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는 중(2019.04.08).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040년에 판매되는 승용차의 57%, 전 세계 승용차의 30% 이상이 전기차가 될 것이고, 새로 판매되는 시내버스의 전기차 비중은 81%에 달할 것으로 전망. 또한 미국과 중국의 상업용 자동차 시장에서는 경량급에서 56%, 중형에서는 31%가 전기차가 될 전망(BNEF).
한편 과거에는 국내 전기차 관련주가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 주가에 밀접하게 움직였으나 최근 들어 탈동조화 현상을 보임.
(마지막 업데이트 2019. 5. 22)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LG화학(051910)+3.15%LG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화학기업. 기초소재사업과 전지사업, 정보전자소재 및 재료사업 영위. 폭스바겐, 다임러, 르노,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현대·기아차 등 국내외 자동차 제조사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세계 순위 4위(출처 : SNE리서치, 2019.04.03 기준).
SK이노베이션(096770)+2.70%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석유개발, 배터리등의 사업을 영위. 배터리 사업의 경우 전기차 및 ESS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제조. 다임러, 기아차, 포드 등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세계 순위 10위(출처 : SNE리서치, 2019.04.03 기준).
삼성SDI(006400)+1.93%삼성그룹의 계열사로 소형전지, 자동차전지, ESS 등을 생산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 영위. 폭스바겐, BMW, 르노, 재규어랜드로버 등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세계 순위 6위(출처 : SNE리서치, 2019.04.03 기준).

2차전지 - 배터리 생산 테마 차트



조선비즈

3개월 등락률 +55.6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개월 등락률 +15.4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주 등락률 +14.76%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