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국과수, 옛 광주교도소 유골 5·18 연관성 분석 작업 '암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시, 행불자 가족 DNA 제공 거부…"전남대 법의학연구실에 비교 분석 맡길 것"

연합뉴스

옛 광주교도소에서 유골 검시하는 합동조사단
[5·18기념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굴된 신원미상 유골의 5·18 연관성을 확인할 행방불명자 가족 DNA 정보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제공되지 않아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5차례에 걸쳐 5·18 행불자 가족 찾기 사업을 추진해 154가족, 334명의 혈액 샘플과 DNA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여기에 36명이 추가로 신청해 혈액 채취와 유전자 분석을 진행 중이다.

암매장 발굴 등으로 유골이 발굴될 경우 유전자 정보를 비교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자는 취지였다.

지난해 12월 5·18 암매장지로 의심되던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신원미상의 유골이 발굴되며 5·18 연관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자 수사기관은 유골을 국과수로 보내 5·18 연관성을 확인해달라고 의뢰했다.

국과수는 최근 유골 262구 가운데 101구에 대한 분석을 마치고 47구에서 DNA 정보를 확보했다.

그러나 정작 광주시가 확보한 행불자 가족의 DNA 시료가 공유되지 않아 5·18 연관성은 확인조차 하지 못했다.

유골에서 확보한 DNA 정보를 실시간으로 대조해볼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반쪽짜리 분석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이에 국과수는 수차례 행불자 가족 DNA 시료를 공유해 줄 것을 광주시에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광주시는 5·18단체의 요구에 따라 DNA 비교 분석은 국과수가 아닌 전남대 법의학연구실에 맡기겠다는 계획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오랫동안 신뢰 관계를 쌓아온 전남대 법의학연구실에 분석을 맡기고 싶다는 5월 단체의 요구가 있었다"며 "국과수가 교도소 발굴 유골에 대한 분석 자료를 넘겨주면 전남대 법의학연구실에 비교 분석을 의뢰할 것"이라고 말했다.

in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