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리모델링 추진단지 "고밀재건축, 관심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업 더디고 일조권 문제 때문에 ‘반대’

늘어나는 임대주택 공급도 부담

“리모델링만 잘해도 10만 가구 늘 듯”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8·4주택공급대책’에서 발표한 공공참여형 고밀 재건축안(용적률 500%·50층)이 찬밥신세다. 기존 재건축 사업 추진단지들뿐만 아니라 재건축을 할 수 없어 선택지가 리모델링만 남은 공동주택도 고밀재건축을 반기는 표정은 아니다.

이데일리

리모델링 추진 중인 서울 강서구 등촌동 등촌부영아파트.(사진=강신우 기자)


5일 서울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재건축이 불가능해 일찌감치 리모델링 사업을 진행하는 단지에서는 대부분 부정적인 입장이다. 재건축 가능한 법적 용적률 상한은 현재 300%(일반주거지역 기준)이지만 200% 이상 단지들은 사업성이 낮아 재건축이 사실상 쉽지 않다.

잠원동 잠원한신로얄(용적률 268%·208가구) 아파트 조합장 김모 씨는 “용적률 300% 전후의 500가구 이하 단지들은 고밀재건축을 한다고 해도 옆 단지와 일조권 문제가 불거질 수 있고 평수도 현재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임대가구가 많아지는 것은 배제하고 봐도 고밀재건축에 맞지 않다”며 “현재 법 테두리 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직증축 리모델링만 잘해도 서울 내 10만가구는 추가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중규모 단지인데다 용적률이 200% 초반대인 리모델링 추진 단지에서도 고밀재건축을 바라는 눈치는 아니다.

등촌동 등촌부영(용적률 219%·712가구) 아파트 조합장 이모 씨는 “재건축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또 임대가구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고밀재건축으로 전환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강남 집값을 낮춰야 전체적인 서울 주택시장을 하향 안정화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강남에 임대아파트를 많이 지어야 하는 게 순서다”라고 했다.

다만 아직까지 리모델링 등 사업추진을 하지 않은 곳에선 재건축의 길이 열린 점에 있어서는 환영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잠원동 A아파트 주민 김 모(48)씨는 “용적률이 300%가 넘어 재건축은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부동산대책으로 재건축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은 환영”이라며 “다만 임대가구 등 조건이 까다로워 대다수 주민들이 찬성할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용적률을 500%까지 허용한다면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도 조합원이나 주민이 찬성한다면 고밀재건축을 할 수 있다. 일조권 문제도 층수를 일률적으로 50층에 맞추지 않고 저층과 고층을 다양하게 배치하면 해결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용적률이 낮은 단지보다는 사업성이 안 나오다보니 주민들이 반대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