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제약사 리베이트 사라졌나...협회, 윤리경영 2년 평가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투명성기구 연구과제 진행, 객관적 성과 과제 도출 목표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리베이트 근절과 관련된 ISO37001(반부패경영시스템)의 도입 효과를 파악하고 윤리경영 내실을 강화하기 위한 평가에 돌입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회원사 참여를 통한 ‘제약산업ISO37001 인증사업 도입효과 분석 연구’를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연구기간은 오는 12월 31일까지로 예정됐다.

ISO37001은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반부패 경영시스템이다.

협회는 제약바이오업계의 리베이트 등 불공정거래행위 근절을 위해 2017년 10월 2차 이사회에서 ISO37001 도입 및 컨설팅 비용 지원에 대한 ‘의약품 시장 투명성 강화 계획’을 의결했다. 이후 각 사의 노력과 협회의 지원으로 2018년부터 ISO37001 도입을 본격화한지 2년여만에 47개사가 인증을 받고 8월 현재 6개사가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연구과제는 ISO37001의 인증 갱신 시점(인증 후 3년)이 도래함에 따라 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제비정부기구(NGO)인 한국투명성기구가 맡았다. 한국투명성기구는 1995년부터 매년 각국의 부패지수(CPI)를 발표하는 국제투명성기구의 한국본부로, 정부와 정치, 시민사회와 일상생활에서 부패 척결을 목적으로 활동한다.

원희목 회장은 “회원사들이 ISO37001을 도입하면서 리베이트 근절에 관한 공감대가 더욱 확산하고 있다”면서 “윤리경영은 전 산업계의 의지를 바탕으로 반드시 이뤄야 하는 지상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과 제약바이오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역량과 더불어 윤리적인 투명성이 전제돼야 한다”며 “윤리경영이 우리 산업의 핵심 가치로 확고하게 자리잡을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