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LG유플러스, 5G 기반 자율주행 로봇 선보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로봇 전문업체 언맨드솔루션과 자율주행 로봇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서재용 LG유플러스 융복합사업담당 상무(왼쪽)와 문희창 언맨드솔루션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협력은 언맨드솔루션이 보유한 자율주행 로봇에 LG유플러스의 영상분석 솔루션, 가스감지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 산업 솔루션과 통신 기술을 융합한다. 이를 통해 순찰, 물류, 방역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실외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사는 첫번째 로봇으로 공장 부지를 24시간 무인 순찰하는 자율주행 순찰로봇을 선보인다. 연내 대형 플랜트사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순찰로봇의 실증을 진행한 후에 내년 정식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 로봇은 열화상 카메라와 유해가스감지 IoT 센서가 탑재돼 24시간 공장 전역을 자율주행으로 순찰한다. 설비의 이상온도, 유해가스 등 위험을 감지하면 통합 관제센터에 실시간 영상과 알람을 즉시 전달해 공장 부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실시간 고정밀 측위(RTK) 기술과 5세대(5G) 통신을 활용해 자율주행의 정교함을 높였다. 고정밀 측위 기술은 최대 30m의 오차가 발생하는 GPS의 오차를 기준국 기반으로 보정해 더욱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는 기술이다. 위도, 경도, 고도 등 절대 위치 값을 알고 있는 기준국에서 관측된 위치와의 오차를 비교해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자율주행 로봇으로 전달한다. 자율주행 로봇은 5G 통신으로 지연 없이 보정정보를 전달받아 cm 단위의 정교한 주행이 가능해져 위험구역을 정확하게 순찰한다.

자율주행 물류로봇도 상용화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기술로 공장 외부에 위치한 창고까지 부품을 운반해 업무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LG유플러스의 물류로봇은 최대 시속 30km의 주행속도와 함께 150kg에 달하는 고중량을 적재할 수 있어 발전소, 대형 공장처럼 대규모 시설에서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한 점이 강점이다.

서재용 LG유플러스 상무는 "공장처럼 넓은 부지의 실외 지역을 이동하는 자율주행 로봇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5G가 필수"라며 "5G 통신을 기반으로 영상분석솔루션, IoT 등 차별화된 산업 솔루션을 융합해 순찰, 물류, 방역, 청소 등 다양한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