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재건축과는 다른 재개발 분위기… 뉴타운 해제구역에 쏠리는 '관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8·4 부동산 대책을 통해 뉴타운(재정비촉진지구) 해제 지역 등에서 공공 재개발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자, 재개발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모습이다. 청약 과열로 내집마련이 어려운 수요자들에겐 재개발 조합원 입주권 취득이 대안이 될 수 있어서다.

조선비즈

서울 종로구 사직2구역의 모습. 당초 이 지역은 재개발을 통해 456가구 규모 아파트 단지로 바뀔 예정이었지만 2017년 서울시가 역사문화유산을 보존한다는 이유로 직권 해제하면서 사업이 중단됐다. /오종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과거 뉴타운 등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가 사업 지연 등으로 해제된 곳은 서울에서 총 176곳에 달한다. 이 중 145개(82%)는 노원·도봉·강북 등 이른바 ‘노도강’에 밀집해 있다. 주택공급확대 태스크포스(TF)는 이 정비구역에서 공공 재개발을 추진해 2만 가구 이상 주택을 공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공공 재개발을 할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시행사로 참여해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50%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대신 종상향과 용적률 상향, 분양가 상한제 제외 등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빠른 사업 진행을 기대할 수 있다.

정부 발표 이후 몰락했던 뉴타운 해제지역에는 다시 볕이 드는 분위기다. 2017년 해제된 서울 성북구 장위9구역 인근 E공인 관계자는 "정부의 공공 재개발 발표 이후 조합원들 사이에서 빠른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면서 "‘장위9구역에서 공공 재개발을 할 것 같으냐’며 매물을 찾는 투자문의도 며칠 사이 부쩍 늘었다"고 했다.

2014년 해제된 노원구 상계3구역 인근 S공인 관계자는 "아파트 규제가 심해지며 지난달부터 진작에 매물이 동난 상황"이라면서 "매수 대기자가 많아 매물이 나오기만 하면 30분 안에 곧바로 팔려나가는 흐름인데, 공공 재개발 이슈로 매수 대기자가 더 늘었다"고 했다.

이남수 신한은행 장한평역지점장은 "재개발은 재건축보다 속도가 느린 것이 가장 단점인데, 공공 재개발로 사업 속도가 붙는 것은 장점으로 판단된다"면서 "해제됐던 재개발 지역 매물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고 했다. 이 지점장은 "다만 재개발 시 임대주택 의무공급 비율이 30%까지 올라갔기 때문에 사업지별로 사업성 분석을 꼼꼼히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사업지별로 수익률의 적정성에 따라 유인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새 아파트 높은 인기가 재개발지역의 동력이 될 수 있다"면서 "역세권이나 작은 규모 사업지들의 경우 사업 모멘텀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했다.

뉴타운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이던 2002년부터 추진한 사업이다. 초기 사업인 길음·은평·왕십리 등은 큰 잡음 없이 진행됐지만, 이후 구역 지정 남발과 경기 침체 등으로 표류하는 곳이 늘었다.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2012년 뉴타운 출구전략을 발표하고 정비구역 해제를 추진해 왔다.

고성민 기자(kurtg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