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과기부, '공기살균기' 등 9개 우수 혁신제품 인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년 동안 혁신제품 지정···공공조달 수의계약 허용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과학기술정보통부는 9개 혁신제품을 지정하고, 공공조달과 연계한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기술혁신형 공공구매 제도는 혁신친화적인 시장 창출을 위해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에서 도입했다. 과기부는 기획재정부, 조달청 등 관계부처 협의와 중소기업, 연구기관 등의 협의를 거쳐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추진해왔다.

이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총 53개 제품이 접수됐다. 심사 결과 공기살균기를 비롯해 총 9개 제품 개발 기업이 혁신제품 지정 인증서를 수여받았다.

지정일로부터 3년 동안 혁신제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고, 정부·공공기관 등과의 공공조달에서 수의계약이 허용된다.

혁신제품 지정은 애초 이번 달 말로 예정됐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 사태를 고려해 심사기간 단축 등이 이뤄졌다. 이번 지정에서 제품의 기술적 우수성 보다 공공부문 업무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바이로 공기살균기’는 다중 공공시설 등 밀폐된 공간의 공기중 오염원 자체를 제거해 감염병 확산 방지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높은 공공성 평가를 받았다.

‘1.2테라급 패킷·광전달망 장비’는 전국과 시도 단위 네트워크망 사용량 폭주로 발생하는 대역폭 부족 현상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순위에 해당하는 공공성 평가를 받았다. ‘배낭 와이파이’도 산불 등 재난현장의 공공안전을 위한 긴급 통신망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 번째로 높은 공공성 평가를 받았다.

이 밖에 △클라우드 플랫폼 솔루션 클라우드잇 △제온 프로세서 기반 데이터센터용 서버 시스템 △정밀 측위용 RTK GNSS 수신기 △영상정보데이터 보안, 사생활 보호 소프트웨어 △AC/DC 전력계측장치 △3차원 자동 유방 초음파영상진단장치 등 중소기업의 아이디어와 기술력이 적용된 제품이 최종 지정됐다.

정병선 과기부 1차관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이 이뤄져 혁신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기술혁신의 의미가 크게 다가온다”며 “이번 제도가 정부 연구개발 사업 연구성과의 초기시장을 창출하고, 공공조달과 연결해 기업 판로구축에 도움이 되도록 종합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