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잇단 규제에 8월 ‘거래절벽’…집주인·수요자 ‘눈치싸움’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8·4 공급대책’ 이후 부동산시장 분위기

[경향신문]

경향신문

비상구 안 보이는 부동산 시장 서울 송파구 한 건물의 비상구 표시등 뒤로 11일 아파트들이 늘어서 있다. 이준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팔겠다는 사람도 적지만, 사겠다는 사람은 더 없어요.”

11일 서울 잠실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8·4 공급대책’ 전후로 나타난 시장 상황을 ‘수요 실종’으로 정리했다. ‘6·17대책’과 ‘7·10대책’이 나올 때까지만 해도 간간이 거래가 이어졌지만 8월 들어 사겠다는 사람이 줄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아파트값의 경우 아직까지는 약·보합세를 유지 중이다.

정부의 다주택자 보유세 강화가 효력을 가지는 내년 상반기 중 급매물 등장과 함께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서울지역서 204건 매매…작년 8월에 비해 3% 수준
업계 “장마·임대차 3법·공급물량 확대 등 영향 준 듯”
종부세 앞둔 내년 상반기 급매물에 가격 하락 가능성

■ 8월 거래량 급감, ‘수요 실종’

11일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집계된 8월 아파트 매매 건수를 보면, 이날 기준 서울 전체 매매 건수는 20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8월(6606건)에 비하면 3% 수준이고, 1만5598건으로 ‘역대급’ 거래량을 기록했던 6월과 비교하면 ‘거래절벽’이다. 정부가 6·17과 7·10 대책을 연이어 쏟아낸 이후인 7월만 해도 8605건의 거래가 성사됐다. 강남구의 경우 8월 들어 체결된 거래 건수가 5건(7월 263건), 서초구는 17건(7월 320건), 송파구는 6건(7월 411건)이다.

부동산 업계에선 올해 유독 긴 장마가 거래량 감소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주된 이유로는 8·4대책 발표를 전후로 한 임대차 3법의 국회 통과, 신규 주택공급 확대, 무주택자 대상 공급물량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구매 수요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꼽는다.

서울 용산의 한 공인중개사는 “임대차 3법으로 당장 전세 계약기간이 2년 더 늘어난 데다, 정부가 신혼부부 특별공급 확대 등 무주택 실수요자에 대한 주택공급을 늘리기로 하면서 구매 수요가 대기 수요로 많이 전환됐다”며 “특히 매매시장을 주도하던 30~40대들이 일단 ‘패닉 바잉’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주택 구매를 서두르던 전문직 종사자 A씨(42)도 최근 8·4대책 등을 통해 신규 공급되는 주택에 기대를 걸고 있다. A씨는 “자녀가 둘이고 무주택기간도 10년이 넘어 입지가 좋은 곳에 공공분양을 받을 수 있을지 지켜보는 중”이라고 밝혔다.

■ 내년 상반기가 분수령

서울과 수도권 등 주요 도심의 아파트값 상승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다만 7·10대책 이후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약·보합세를 보이는 중이다. 서울과 수도권 모두 7·10대책 이후 3주 연속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줄었고, 8월 첫째주 상승폭은 전주와 동일했다.

부동산114 집계에서도 7월10일 기준 0.14%였던 주간 매매가 상승폭이 지난 7일 기준 0.09%까지 줄었다.

부동산 업계는 집주인들이 시장을 관망하면서 매물을 서둘러 내놓거나 호가를 내리지는 않고 있어 당장 집값 하락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다. 법인 대상 부동산 세제가 강화되면서 법인 보유 주택이 대거 시장에 나올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실제 매물로 나온 물량은 아직까지는 많지 않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단기간에 여러 대책이 나오면서 아직까지는 매도 여부나 시점 등을 따져보는 집주인들이 대부분”이라며 “강화된 종합부동산세가 본격 적용되는 시점이 내년 6월1일인 만큼 오는 10월쯤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매물이 많이 등장하면서 가격 하락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