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9 (수)

`한국판 뉴딜` 청년일자리 7.9만개…2030 "사실상 단기알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7월 고용동향 ◆

"엑셀 사용 경험이 전혀 없고 자기소개서도 대충 써서 냈는데 뽑혔네요." "상반기에 취업에 실패했는데 하반기에 취업 준비하며 아르바이트한다고 생각하고 '구활금'이나 받아야겠습니다."

정부가 한국판 뉴딜의 일환인 '디지털 뉴딜'로 미래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청년고용 문제까지 해결한다는 거창한 목표를 세웠지만 정작 정부의 공공일자리에 지원한 청년들 사이에선 단기 아르바이트의 대체재쯤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범 당시부터 '일자리 정부'를 내세웠던 정부가 청년층 고용 상황이 연일 악화해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숫자로 드러나는 고용통계 개선에만 집착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1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십' 참가 대상자 8950명 선발을 완료했다. 학력·전공·성·어학성적 등 자격 제한 없이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광역·기초), 공공기관 등 전국 단위로 선발했다. 행안부의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십' 업무 정의서를 보면 인턴 업무에 대해 '컴퓨터 및 엑셀 활용 등 기본지식 정보화 역량을 보유하고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면 수행 가능한 업무'로 규정하고 있다. 급여는 세전 월 180만원이며 주5일 40시간 근무에 출장비·교통비·교육비 등이 추가로 지급된다.

이들에게 부여될 인턴십 업무는 단순 작업이 아니라 고품질 공공데이터 개방과 품질 개선 업무를 실무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라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하지만 공공데이터 인턴십을 바라보는 청년들 인식은 정부와 괴리가 있는 모습이다. 이번에 인턴십에 합격한 이 모씨는 "정부가 생색을 내며 많은 규모를 뽑는 걸 보니 관리도 소홀하고 하는 일도 시답잖아 경력에 별 도움이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인턴십 지원을 고민하다 포기한 취업준비생 강 모씨는 "단순 데이터 라벨링 작업이라 경력사항에 한 줄 넣을 수는 있겠지만 차라리 그 시간에 대기업 하반기 공채 준비에 전념하는 게 낫다는 판단이 들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심 공공데이터 일자리 창출이 하반기 고용 상황 개선으로 이어지길 기대하는 모습이다. 지난 4월 '고용안정 특별대책'을 통해 약속한 직접 일자리 55만개 중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분야는 약 20만개다. 이 중 공공 부문의 데이터·콘텐츠 구축 분야에서만 7만9000명을 뽑는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재택근무로 기계학습 분야 데이터댐을 지을 청년 2000명에 대한 모집을 지난 10일 마감했다.

하지만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정부가 사실상 공공데이터 청년 일자리를 '강매'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행안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일괄 채용한 후 공공기관에 뿌리겠다는 건데 우리 기관은 수요를 적게 제출했는데도 다시 늘려달라고 회신이 왔다"며 "행안부에서 돈을 대서 공짜 인턴을 뿌리는 건 기관 차원에서 좋기는 한데 이런 식으로 일자리를 늘리는 게 바람직한 건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