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6월 시중 통화량 23.2조 증가…전년비 9.9% 증가한 3077.3조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은행 6월중 통화 및 유동성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통화량 증가세가 연속 두 달 1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0년 6월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6월 광의의 통화량(M2)은 3077조2843억원(원계열·평잔)으로 1년 전에 비해 9.9% 증가했다. 5월에 이어 증감률은 같았다. 2009년 10월(10.5%)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전월과 비교하면 23조2000억원(0.8%) 증가한 것으로 5월 증가율(1.2%) 보다는 축소했다.

M2 증가율은 2017년 9월 이후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6~7%대 증가율을 유지하다 코로나19가 본격화한 지난 2월부터 8%대로 늘어니 4월들어 9.1%로 올라선 이후 10%대에 육박하고 있다.

통화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총량으로 우리경제의 큰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지표다. 특히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한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펀드(MMF), 2년미만 정기 예·적금 등을 포함한 M2는 광의의 통화 지표로 쓰인다. 3000조원 규모의 통화량은 아프리카 49개국 GDP를 합한 규모와 맞먹는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예금의 감소세가 이어진 가운데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이 14조4000억원으로 가장 크게 늘었다. 요구불예금도 6조2000억원 증가했지만, 2년미만 정기예적금은 4조8000억원 감소했다. 정기예적금 감소는 금리인하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16조9000억원), 기업(9조1000억원), 기타금융기관(2조7000억원)은 증가했으나 기타부문은(-5조6000억원)은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6월중 광의통화는 기업부문 중심의 신용공급이 지속되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