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日 경제보복 극복법, 日 소부장에게 배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여름 일본이 대법원의 강제징용 소송 배상 판결을 문제 삼아 극자외선용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고순도 불화수소 등 전략물자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했을 때 한국 사회는 큰 충격에 빠졌다. 그간 눈부시게 발전시켜 왔던 반도체 등 산업이 일본에 상당 부분 의존해왔다는 뼈아픈 현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포스트 한일경제전쟁' 저자 문준선은 당시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총괄서기관으로서 일본 현안 대응을 담당했다. 경제전쟁의 최전선에서 한국과 일본의 격차를 여실히 목도했다. 수출규제 1년이 지난 지금 수출규제한 품목들은 어느 정도 국산화를 이뤘지만 저자는 안심하긴 이르다고 말한다. 아직도 일본과의 기술 격차는 엄존하며 경제 장기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생각에 일본 경제산업성 선정 '글로벌 틈새 1등 기업' 100곳, 중소기업청 선정 모노즈쿠리(장인정신 기업) 300곳, 정책투자은행 밸류체인코어기업 60곳 등 일본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핵심 기업 460여 개를 조사하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은 어떻게 소부장 강국이 됐는가' '일본의 수출규제가 왜 한국에 기회인지' '일본 소부장 기업들의 11가지 교훈' 등에 대해 말한다.

통상 일본 기술력의 비결로는 장인정신, 장수기업 등 일본의 특수성이 꼽힌다. 하지만 저자는 이보다 '거대과학 프로젝트' '후발주자나 괴짜들 등 비주류 기업의 혁신' 등의 기여가 더 크다고 말한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기어'를 목표로 100만분의 1g 기어를 만든 주켄공업,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푸는 데 성공한 미타카광기 등이 그 주인공들이다.

일본의 수출규제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저자는 화학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라고 조언한다. 특히 일본 경영학 교수 이타미 히로유키를 인용해 "앞으로 산업 주도권의 향배는 화학기술이나 제품이 기존 것들을 대체하는 '산업의 화학화'에 달려 있다"며 시코쿠화성, 오키쓰모, 다나카화학연구소 등 일본의 우수 화학기업들을 모범 사례로 든다.

일본 소부장 기업들로부터 배워야 할 점으로는 차별성, 유연성, 도전, 혁신, 창업, 기술, 자원배분, 위기대응, 협력, 고객관리, 문화 등 11가지를 제시한다.

[서정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