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SK하이닉스가 투자한 日반도체 `기옥시아` 10월 도쿄 상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24일 도쿄에서 닛케이225지수 현황을 알리는 간판 옆으로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참여한 한미일 연합이 지난 2017년 인수한 기옥시아(옛 도시바메모리)가 오는 10월 6일 도쿄증시에 상장한다.

기옥시아가 상장하게 될 경우 시가총액은 2조~2조5000억엔(약 22조~28조원) 가량이 될 전망이어서 올 도쿄증시 기업공개(IPO) 기업 중 최대규모가 될 전망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을 비롯한 일본 언론들이 26일 전했다. 공모가 등은 현재 미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SK하이닉스와 미국 베인캐피탈 등이 포함된 한미일 컨소시엄은 지난 2017년 9월 도시바메모리를 2조엔에 사들였다. SK하이닉스는 당시 배인캐피탈이 조성한 펀드에 출자하는 방식을 통한 대여 2660억엔과 전환사채 1290억엔 등 총 3950억엔(당시 환율 기준 약 4조원)을 투자했다.

전체 지분의 50.1%는 40.1%를 갖는 도시바를 비롯한 일본 측이 갖기로 했다. SK하이닉스와 베인캐피털이 확보한 지분은 49.9%다. SK하이닉스에 대해서는 10년간 지분 보유 상한(15%)이 설정된 상태다. 인수 후 필요한 각국 규제당국의 결합심사 통과 등의 목적과 함께 해외 매각에 부정적인 일본 여론 등이 작용한 결과다.

상장 과정에서 도시바와 베인캐피털은 구주를 일부 매각하고 신주 발행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SK하이닉스 역시 투자금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다만 SK하이닉스의 기옥시아 투자가 투자수익을 노린 것은 아니라 회수에 나설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기옥시아는 세계 2위 낸드플래스메모리 제조업체다. 지난해 10월 일본어로 기억을 뜻하는 '기오쿠'와 그리스어 가치를 뜻하는 '악시아(AXIA)'를 더한 기옥시아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7년 인수에는 SK하이닉스와 베인캐피털, 도시바, 호야 외에도 애플, 킹스톤, 시게이트, 델 등도 참여했다. 다만 애플, 킹스톤, 시게이트, 델 4개사는 우선주 투자로 의결권은 없다. 당초 기옥시아는 지난해 도쿄증시 상장을 추진했으나 지난해 실적 악화 등을 이유로 1년 연기했다.

[도쿄 = 정욱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