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한·일관계 기본은 1965년 청구권 협정" 강제징용 문제, 아베 그대로 따르는 스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쿄=조은효 특파원】 차기 일본 총리로 사실상 확정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사진)관은 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이 한·일 관계의 기본"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스가 장관은 6일 산케이신문 인터뷰에서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로 악화한 한일 관계와 관련해 "일·한(한·일) 청구권협정이 일·한(한·일) 관계의 기본"이라며 "그것에 얽매이는 것(구속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스가 장관은 그간 일본 정부 대변인 역할을 하는 관방장관 자격으로 청구권 문제는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입장에 따라 지난 2018년 한국대법원의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이 한·일 청구권협정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징용 피해자 측이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의 한국 내 자산을 현금화하려는 것에 대해서는 모든 대응책을 검토 중이라며 보복 조치 가능성을 경고해 왔다. 스가 시대가 열린다해도, 징용 문제, 나아가 양국 관계 돌파구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대목이다. 그가 전날 블로그를 통해 발표한 정책집에서도 "일·미 동맹을 기축으로 한 외교·안보 정책을 펼치고, 중국을 위시한 근린국과의 안정적 관계를 구축하겠다"고 했지만, 한국은 아예 거론하지 않았다. 스가 장관은 오는 14일 예정된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기를 굳힌 상태다. 자민당 파벌 7개 중 5개의 지원을 확보했으며, 47개 도도부현(광역지자체) 표심까지 싹쓸이 할 태세다. 앞서 2일 출마 기자회견에서는 아베 노선을 확실히 계승하겠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의 비원인 개헌에 대해서는 "헌법 개정은 자민당의 당시(黨是)"라며 개정을 위한 환경을 정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