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이스타항공 605명에 정리해고 통보…업계 구조조정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제주항공과 인수·합병(M&A) 무산 이후 재매각을 추진 중인 이스타항공이 임직원 605명에게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이스타항공의 정리해고를 시작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벼랑 끝에 내몰린 국내 항공업계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스타항공은 7일 오후 정리해고 대상 직원 중 동점자와 휴직자를 제외한 605명에게 해당 사실을 개별 통보했다. 이들의 정리해고 시점은 10월 14일로, 내용증명 등기발송 등의 절차를 고려해 당초 예정(6일)보다 일주일 가량 늦춰졌다.

이에 따라 이스타항공에 남은 직원은 총 590명이 된다. 항공기 6대 운항에 필요한 인원과 항공운항증명(AOC) 발급에 필요한 필수인력 등을 고려한 인원이다.

정비 부문 인력도 이번 정리해고에서 제외됐다. 향후 항공기 증가와 국제선 재운항을 고려한 조치다.

앞서 지난달 말에는 총 98명이 희망 퇴직했다.

지난 3월 말 직원 수가 1680명 가량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5개월여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든 셈이다.
헤럴드경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이스타항공 고용유지 촉구 정당·노동·시민단체 기자회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현재 회사가 임금을 지불할 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그나마 인력 감축을 해야 해당 직원들이 실업 급여나 체당금(국가가 사업주를 대신해 체불 임금의 일정 부분을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제도)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스타항공은 이르면 이달 말 우선협상 인수 기업을 선정해 10월 중 M&A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이스타항공 측에 인수 의사를 나타낸 곳은 기업 4곳과 사모펀드 등을 포함해 10여곳이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투자 의향을 나타낸 인수 후보자들에게 투자안내문(티저레터)을 보냈으며 예비투자자의 회신에 따라 회계 실사 결과 등을 포함한 투자의향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8일 오전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의 대량 정리해고 철회와 창업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사재출연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또 부당해고 구제신청 등 법률 대응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스타항공의 대규모 실직 사태가 현실화하면서 업계 안팎에서는 항공업계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

당장 HDC현대산업개발로의 인수가 사실상 무산된 아시아나항공을 두고 구조조정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채권단의 관리를 받게 되면 인력 감축과 경영진 교체,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등의 수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가 이어질 경우 저비용항공사(LCC) 업계의 구조개편도 불가피해 보인다. 업계에서는 코로나 사태가 내년까지 지속할 경우 상반기를 채 못 버티는 항공사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유·무급휴직 외에 인원 감축에 나서는 항공사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online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