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스가, ‘포스트 아베’ 아니고 ‘제2의 아베’인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대 보유 금지한 평화헌법 개정 확실히 도전” 다짐

외교·안보 및 코로나19 대응도 ‘아베 계승’ 의지 피력

세계일보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이 8일 일본 도쿄도 자민당 본부에서 열린 총재 선거 ‘소견 발표 연설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


‘포스트 아베’로 유력한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이 평화헌법 개정을 향한 의욕을 드러냈다. 스가 장관은 아직 한·일 관계에 대해 따로 언급하지 않고 있으나 일본이 개헌을 통해 군대를 보유함으로써 ‘전쟁할 수 있는 나라’가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함에 따라 한동안 관계 개선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스가 장관은 8일 자민당 총재 선거 ‘소견 발표 연설회’에서 헌법 개정을 “자민당 창당 이래 당시(黨是·당의 기본방침)”라고 밝혔다. 이어 “헌법심사회에서 각 정당이 생각을 제시한 후 여야를 넘어 건설적인 논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확실히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헌법 개정에 굳은 의지를 보인 스가 장관의 발언은 지난달 28일 지병을 이유로 사임을 표명한 아베 신조 총리의 기존 발언과 거의 차이가 없다.

◆‘포스트 아베’ 아닌 ‘아베 정권 연장’ 수준의 스가

스가 장관은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는) 일·미 동맹을 기축으로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며 “국익을 지키기 위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전략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중국을 비롯한 이웃 국가와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이란 요즘 미국의 가장 중요한 대외 전략인 인도·태평양 구상의 핵심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남태평양을 비롯한 태평양 및 인도양 전역에서 항행의 자유를 지키겠다는 것으로 결국 남중국해를 자국 영해로 삼으려는 중국과 충돌이 불가피하다. 미국과의 연대 아래 중국과 맞서 나가겠다는 것 또한 아베 총리의 외교·안보 전략으로 기존 정책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피력한 셈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스가 장관은 감염 확산 방지와 경제활동을 병행하는 아베 정권의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스가 장관은 다만 “코로나19를 계기로 부상한 것이 디지털화 필요성”이라며 “행정의 디지털화는 가능한 것부터 앞당겨 조치하고 여러 부처에 분산된 정책을 강

력하게 추진하는 체제로 ‘디지털청’을 신설하겠다”는 새로운 정책을 제시했다.

세계일보

8일 일본 도쿄도 자민당 본부에서 열린 총재 선거 ‘소견 발표 연설회’에서 후보 3명이 주먹을 맞대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정조회장,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이시바 시게루 전 간사장. 도쿄=AFP연합뉴스


◆당선권 멀어진 기시다·이시바도 막바지 ‘안간힘’

이날 도쿄도 소재 자민당 본부에서 열린 연설회에는 스가 장관과 함께 입후보한 기시다 후미오 정조회장과 이시바 시게루 전 간사장도 참석했다. 기시다 정조회장은 “아베 총리가 남긴 빛나는 성과를 토대로 다음 시대를 생각해야 한다”며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격차가 발생하고 있어 진지하게 대응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장 과실의 분배를 생각해야 하고 중산층에 대해서는 교육과 주택 지원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기시다 정조회장은 최저임금 인상도 언급했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철도 및 도로망, 정보망이 발달할수록 도쿄 일극 집중이 진행되는 것이 나라의 구조”라며 “한 번 더 지방 발전에 전신전령(全身全靈·몸과 마음 전부)을 쏟아 새로운 일본을 만들고 납득과 공감의 정치를 실시해 ‘그레이트 리셋’으로서 나라의 설계도를 고쳐 쓰겠다”고 연설했다.

자민당 총재 선거는 오는 14일 양원 총회에서 자민당 소속 국회의원(중·참의원 394명) 외에 전국 108만명의 당원을 대신해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 지부연합회 대표 당원들(47×3=141명)이 한 표씩 행사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자민당 신임 총재는 오는 16일 소집되는 중의원에서 새 일본 총리로 지명될 예정이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