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추미애 아들 군복무 진실공방

"가짜뉴스 책임져야" 추미애 감싼 김종민 "아들과 친한 보좌관, 전화했을 수도"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서모(27)씨를 둘러싼 이른바 ‘황제복무’ 의혹 논란이 갈수록 격화되는 가운데 연일 추 장관을 적극 옹호하고 있는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아들 서씨와 가까운 사이인 추 장관 보좌관이 (국방부에) 문의 전화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김 최고위원은 16일 전파를 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추 장관 아들) 서 일병하고 보좌관하고 가까운 사이고 선거운동 때부터 형, 동생으로 지냈다고 한다”면서 “추 장관이 전화 한 적이 없다고 하고, 당시 당대표였던 추 장관이 단순히 민원전화를 한다는 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간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앞서 추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추 장관 부부가 지난 2017년 6월 아들의 휴가 연장을 위해 국방부 민원실에 문의 전화를 한 기록이 남아있다는 지적에 대해 “저는 연락한 사실이 없다”고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이와 관련, 김 최고위원은 해당 국방부 문건에 대해 “문구는 부모님 전화라고 돼 있지만, 지원반장은 누군가에게 문의 전화가 왔었다는 얘기만 전달받고 서 일병한테 물어봤고 서 일병은 ‘부모님이 했을 수 있겠다’고 추정한 것”이라며 “국방부가 민원 당사자의 신원을 확인한 내용이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김 최고위원은 ‘남편에게 물어볼 형편이 못 된다’는 추 장관의 답변을 두고는 “그분의 건강 상태와 관련해 개인 사정이 좀 있는 것 같다. 정확히는 모르지만, 확인이 원활한 상태는 아닌 것 같다”고도 했다.

김 최고위원은 또한 ‘일반 장병들도 구두로 휴가 연장이 가능한 것이냐’는 진행자의 질문을 받고 “누구나 가능하다”면서 “그게 상관이 보기에 정말 꾀병이 아니거나, 정말 불가피하거나 수술받아 다리가 절뚝거린다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 최고위원은 추 장관 아들 서모씨를 둘러싼 이른바 ‘황제복무’ 의혹 관련, 추 장관 부부 가운데 한 명이 아들의 군 병가 연장을 문의하는 전화를 했다는 문건이 공개되면서 파문이 확산하자 “전체적으로 저희가 사실관계를 면밀하게 확인해본 것에 따르면 현재까지 나온 거의 모든 의혹은 거의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11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추미애 장관 아들은 규정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승인받아서 휴가를 다녀온 것”이라고 강조한 뒤 “두 번의 병가, 한 번의 개인휴가 다 정상적으로 본인이 담당자와 통화해서 승인을 받아 결정된 것”이라면서 이렇게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김 최고위원은 “전화로 하는 것이 가능한가 물으실 수 있는데 육군 규정에 나와 있다”면서 “전화 등의 수단으로 담당자가 승인 명령을 내리면 휴가가 성립된다. 이것이 명문으로 나와 있는 규정”이라고도 했다.

김 최고위원은 또한 “실제 많은 분들에게 확인을 해본 결과 전화로 승인을 한다고 한다”며 “담당 책임자가 폭로했다고 해서 당직사병의 폭로라고 하는데, 그 당직사병은 이 문제를 처리하는 결재라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어 “그 당시 이 휴가를 승인했던 담당 부대장은 ‘내가 사실을 확인했고 정상적으로 규정대로 승인했다’고 증언하고 있다”면서 “당직사병의 문제제기를 믿을 것인가, 결재권자의 확인을 믿을 것인가”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최고위원은 “단지 관련 진단서나 서류가 보관돼 있지 않은 것인데 우리 군의 행정상의 문제나 미비가 있었을 수 있다. 이는 전혀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녹취록이라는 것을 갖고 흔들었다. 국민들은 ‘뭔가 있는 게 아니냐’하며 여기까지 온 것”이라고 쏘아붙인 뒤 “전 언론이 매일 의혹을 쏟아냈다. 그 녹취록 내용이 신원식 의원과 십 수 년 동안 같이 함께했던 부하”라고 날을 세웠다.

김 최고위원은 여기에 덧붙여 “그 부하가 가짜 허위사실을 폭로한 것을 녹취록이라고 흔들어댄 것”이라면서 “국민의힘은 이런 식의 가짜뉴스로 코로나 비상시국에 국민들의 마음을 심란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비판의 수위를 끌어올렸다.

그는 또 “가짜뉴스가 국회에서 횡행하는 것에 대해 국민의힘이 책임지고 신원식 의원의 허위사실에 대한 엄중책임을 물을 것을 정말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경훈기자 styxx@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