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해수부 “실종 공무원, 단순 실족 가능성 크지 않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연평도 실종 공무원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 24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소연평도 해상에 실종됐던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가 정박해 있다. 군과 정보 당국은 24일 서해 최북단 소연평도 실종된 공무원이 월북을 시도하다 북측 해상에서 표류했고, 이후 북측의 총격을 받고 사망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2020.9.24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됐다가 북한군에 피격된 것으로 확인된 공무원 A(47)씨의 실종 경위와 관련해 단순 실족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해수부 엄기두 수산정책실장은 24일 온라인 브리핑에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단순 실족 가능성은 크지 않다. (A씨가 배에) 슬리퍼를 가지런히 벗어놓은 것으로 봐서 단순 실족이라는 추측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물론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고 당일 기상이 아주 양호했고 위험한 상황은 아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A씨가 자진 월북했다는 것을 뒷받침할 증거는 갖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평소 A씨가 주변에 월북 관련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동료들과 그런 얘기를 나눴던 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런 얘기를 하는 사람이 전혀 없다”면서 “증언도 당연히 없다”고 답했다.

A씨는 승선할 때 가지고 있던 옷, 가방, 생필품 등도 대부분 배 안에 남겨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엄 실장은 “현재 육안으로 보면 특별히 없어진 것은 없는 것 같은데 이는 수사를 통해 밝혀져야 해서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실종 당일 행적과 관련해서도 “조사가 이뤄져야 알기 때문에 답변하기 곤란하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삼갔다.

A씨가 월북한 후 북측 해상에서 피격돼 불에 태워졌다는 국방부의 발표에 대해서는 “해수부가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상황이어서 국방부와 같은 입장”이라고 말했다.

해수부는 A씨가 실종된 후 북한군의 피격으로 사망했다는 국방부 발표 내용을 사전에 공유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엄 실장은 “언론 보도를 보고 알았다”면서 “월북과 피격은 여러 종합적인 데이터나 분석해서 판단하는 것이라 업무 관련성이 없는 해수부가 참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각각의 업무 역할이 있기 때문에 (해수부는) 그 역할에 대해 충실했다”고 설명했다.

엄 실장은 A씨를 ‘실종자’로 부를 것인지 ‘월북자’로 부를 것인지에 대해서는 “둘 다 틀린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해수부는 (초기부터) 실종 직원이라고 표현을 해서 그렇게 쓴다”고 답변했다.

엄 실장은 “해수부 소속 어업 지도원 승선 직원의 실종 사고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가족 여러분에 깊은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A씨 순직 인정 등의 문제는 해경의 수사 결과를 보고 판단할 방침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