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속내 드러낸 트럼프 “이번 대선은 대법원 판결까지 갈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선 불복’ 가능성 또 언급

조선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각)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기자들과 얘기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대선 패배 시 불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23일(현지 시각) 백악관 브리핑에서 ‘선거 후 정권의 평화적 이양이 있을 것이라고 확실하게 보장할 것인가?’란 기자의 질문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나는 (우편)투표에 대해 매우 강하게 불평해 왔고, 그 투표들은 재앙”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우편)투표들을 없애면 (정권) 이양은 없을 것이고, 솔직히 연임이 있을 것”이라며 “(우편)투표들은 통제를 벗어났다”고 했다. 우편투표만 없으면 자신이 재선될 것이란 뜻이다. 우편투표는 각 주(州) 선관위가 유권자들에게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보내고 기표된 용지도 우편으로 받아 집계하는 것이다. 우편투표가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보는 트럼프는 그간 우편투표 조작 가능성을 제기해왔다.

이날 브리핑에 앞서 열린 소셜미디어 관련 행사에서도 트럼프는 “이번(대선)이 대법원에서 끝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민주당원들이 저지르고 있는 이 사기(scam)는 미국 대법원에 회부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이 우편투표를 통해 부정선거를 하려고 한다고 주장하며,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승리했던 2000년 대선 때처럼 연방대법원 판결이 선거 결과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트럼프는 또 지난 18일 별세한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 후임을 오는 26일 지명하겠다면서 “9명의 대법관이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남은 8명 대법관의 결정이) 4대4가 되는 상황은 좋은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대선 관련 판결이) 지나치게 정치화될 경우를 대비해 9명의 법관이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 긴즈버그 대법관을 제외한 8명의 대법관 중 트럼프가 지명한 2명을 포함해 총 5명이 보수 성향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지명했던 존 로버츠 대법원장은 사안에 따라 진보적 판결을 한 적도 있다. 이 때문에 트럼프가 긴즈버그 대법관 후임을 서둘러 지명하려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7월 중순에도 “우편투표가 선거를 조작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결과에 승복할지는) 봐야 한다”고 말한 적 있다. 7월 말에는 트위터에 “사람들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투표할 수 있을 때까지 선거를 미룬다???”란 글을 써서 대선 연기 논란을 일으켰다가 9시간 만에 철회했다. 당시에도 트럼프는 “우편투표를 강행할 경우 선거가 끝난 뒤에도 누가 이겼는지 모를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선거를 40여일 앞둔 시점에서 다시 한번 ‘대선 불복’을 시사한 것이다.

이 때문에 미국 전문가들은 11월 3일 대선 후 결과가 금방 판가름나지 않고 누구도 승복하지 않는 ‘대혼란’이 올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미 시사잡지 ‘더 애틀랜틱’은 최신호에서 “선거가 미국을 갈라놓을 수 있다”며 “최악의 경우는 트럼프가 자신의 권한을 이용해 자신에게 불리한 결정적 결과를 막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더 애틀랜틱은 “트럼프의 법률팀은 이미 경합주 개표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회피할 수 있는 선거 후 전략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트럼프의 대통령 임기인 내년 1월 20일까지 대선 결과가 정리되지 않으면 “두 명이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러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민주당은 이런 시나리오를 우려해 대통령의 권한을 제한하는 ‘민주주의보호법안’을 이날 하원에서 발의했다. 당내에서 ‘포스트 트럼프 개혁안’으로 불리는 이 법안에는 대통령의 사면권, 비상사태 선포권 등을 제한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미 하원의 민주당 소속 7개 상임위원장은 이날 공동 성명에서 “이 법안은 앞으로 대통령의 권력 남용을 방지하고, 견제와 균형을 회복하며 우리의 선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김진명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