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다빈치의 노트 속 인생 사는 법 있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역사상 ‘천재’로 불린 사람은 많았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특정 분야에서만 천재성을 보였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달랐습니다. 회화, 음악, 천문학, 해부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천재였습니다. 수백 년이 지나도 후세 사람들이 그를 다시 찾는 이유일 겁니다.
서울신문

다빈치를 통해 자기계발법을 알려 주고, 그의 인생에서 지혜를 배우자는 책이 나란히 나왔습니다. 다빈치와 자기계발이라니, 다소 엉뚱하게 들립니다. 그러나 다빈치는 고난 극복의 아이콘이기도 합니다. 사생아, 무학자, 동성애자라는 환경에서 수많은 실패에 좌절하고 다른 사람의 재능을 질투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그는 젊은 시절 노트에 “나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적기도 했지요.

‘초역 다빈치 노트’(한국경제신문)는 다빈치 마니아이자 연구가인 사쿠라가와 다빈치가 쓴 책입니다. 이름에까지 ‘다빈치’를 붙인 저자는 다빈치의 친필 노트, 도록, 학술서 등 많은 양의 자료를 연구 분석하고 이를 7가지로 정리했습니다. 존중, 몰입, 통찰, 창조, 인간관계, 실천, 행복입니다. 그리고 이를 ‘다빈치식 생각 도구’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다빈치가 남긴 노트 구절을 먼저 제시하고 이를 짧은 글로 풀어 주기 때문에 다소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다빈치의 생과 그의 미술을 통해 인생의 교훈과 지혜를 살피는 ‘다빈치 인생수업’(아트북스)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사생아였던 다빈치의 어린 시절부터 예술가적인 면모를 보이기 시작해 피렌체로 향하기까지, 그리고 도시들을 여행하며 그가 얻은 것, 스승을 능가하는 학습법 등을 설명합니다. 비주류였던 다빈치가 르네상스의 이상적 인간이 되기까지 그의 생을 따라가며 인생의 교훈을 뽑아냅니다. 미술에 해박한 저자의 그림 설명에 책장이 쓱쓱 넘어갑니다.

두 책은 모두 다빈치의 유연한 사고방식에 방점을 찍습니다. 현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의 모범을 다빈치에게서 찾는 겁니다. 창조적인 사고로 융합형 인재가 되는 방법, 다빈치에게서 찾아보는 일도 재밌을 듯합니다.

gj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