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조카가 본 트럼프는 소시오패스… “재선 땐 美민주주의 종말” 쓴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상식·형평을 초월한 편향과 무리수, 이해하기 어려운 거짓과 타인 무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반복해 온 국가정책 시행과 수습의 일관된 방편이다. `세계 대통령´의 위상을 지키기는커녕 많은 미국인으로부터 리더의 자격을 의심받고 조롱당하는 트럼프. 그는 왜 일탈의 언행을 계속할까.

`너무 과한데 만족을 모르는´은 트럼프의 유일한 여성 조카인 임상심리학자 메리 트럼프가 그 `이해할 수 없는´ 일탈의 이유를 소상히 풀어낸 화제의 책이다. 대통령 선거에 앞서 쏟아지는 비화·폭로 서적들과 달리 가족사를 통해 트럼프의 민낯을 속속들이 드러내 충격을 준다.

조카 메리가 임상심리학 측면에서 확정하는 트럼프는 한마디로 `대통령이 돼선 안 될 이기적인 괴물´이다. 삼촌인 트럼프의 기괴하고 자멸적인 행동이 정신장애 진단·통계편람(DDSM-5)의 9개 기준을 모두 충족한다고 진단한다. 그의 만성적 범죄행위와 거만함, 타인 권리 무시 행위도 소시오패스 수준의 반사회적 인격장애 기준에 딱 들어맞는다고 평가한다.

그 `비정상´의 트럼프는 아버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트럼프의 아버지는 자신이 크게 일군 사업을 잇게 하기 위해 메리의 아버지인 큰아들을 도전적 인물로 키우려다가 실망한 뒤 트럼프를 전폭 지지한다. 저자는 이 대목에서 “트럼프는 오직 아버지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점점 과격해지면서 `킬러´적으로 변해 갔고 그렇게 전 세계를 위험에 빠뜨린 괴물이 탄생했다”고 밝힌다.

트럼프에게 흔히 따라붙는 `자수성가´ 면모도 “만들어진 허상”이라고 일축한다. 트럼프는 잇따른 사업에서 줄줄이 실패했지만 아버지가 그때마다 보상, 구제해 줘 살아남을 수 있었다. 역사, 헌법원칙, 외교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트럼프가 고수하는 정책 수행의 으뜸 기준은 돈밖에 모르는 아버지에게 배운 `돈의 프리즘´이다. 메리는 “계속 축적되고 있는 트럼프의 실패가 모두를 위협하고 있다”며 혹독한 말을 남긴다. “만약 그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미국의 민주주의는 종말을 맞을 것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