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김정은, 계몽군주 같다” 치켜세운 유시민… 온 나라가 발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이 北 총탄에 숨졌는데… 이틀째 논란

세계일보

유시민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 세계일보 자료사진


해양수산부 40대 공무원이 서해 최북단 소연평도 인근에서 실종됐다 북측 해상에서 북한군의 총에 맞아 숨진 사건을 두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통지문을 통해 사과한 것과 관련,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유튜브로 생중계된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김 위원장이 ‘계몽군주’ 같다고 발언해 이틀째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가뜩이나 ‘만행’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이해할 수 없는 북한의 이번 행태에 여론이 들끓고 있는 상황에서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를 했다고 계몽군주라고 치켜세운 셈이라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 정치권에선 유 이사장을 향한 비판이 쏟아져 나왔고 온라인 공간은 말 그대로 발칵 뒤집어졌다.

26일 야권 인사들은 앞다퉈 유 이사장의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김정은은 계몽군주가 아니라 폭군”이라며 “유 이사장이 김정은의 계몽군주화를 기대하는 건 자유지만, 현실은 똑바로 보라”고 일침을 놨다. 그는 “김정은은 고모부를 총살하고, 이복 형을 독살하고,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고, 한국의 민간인을 무참히 사살하고 훼손했다”면서 “수령(김 위원장)의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에 감읍해선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김정은이 계몽군주의 길을 가길 바란다면 (김 위원장의) 만행을 규탄하고, 똑부러지게 혼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민의당 홍경희 수석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유 이사장의 발언을 겨냥, “대통령 측근 인사들의 ‘김정은은 계몽군주니, 긍정적 대화 신호가 보이느니, 매우 이례적인 표현이니’와 같은 북측 입장을 대변하는 언행은 이번 사건에 대한 국민적 정서에 눈을 감은 한심한 작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관련 기사 댓글란 등도 유 이사장의 발언 논란으로 뜨겁게 달궈졌다. 본지가 해당 토론회 내용을 보도한 한 포털의 기사엔 “자기 가족이 죽음을 당해도 이런 말을 할 수 있을까”라거나 “이젠 아주 대놓고 군주라고 하느냐” 같은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계몽군주라는 단어가 실시간검색어 최상위권에 오르내리기도 했다.

세계일보

25일 유튜브로 생중계된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 토론회’ 참석자들. 연합뉴스


전날 유 이사장은 토론회 도중 “김 위원장의 리더십 스타일이 이전과는 다르다”며 “그 이면에 세계관, 역사를 보는 관점 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사람이 정말 계몽군주이고, 어떤 변화의 철학과 비전을 가진 사람이 맞는데 입지가 갖는 어려움 때문에 템포 조절을 하는 거냐, 아니냐(하는 질문을 받는데), 제 느낌엔 계몽군주 같다”고 덧붙였다. 함께 토론회에 출연한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도 김 위원장에 대해 “일종의 계몽군주로서의 면모가 있다”고 거들었다. 유 이사장은 계몽군주라는 표현을 꺼내기 전엔 “예전에 이 말(계몽군주)을 했다가 욕 먹었다”며 “저를 ‘종북’, ‘북한 대변인’이라 하더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세계일보




앞서 지난 21일 오전 11시30분쯤 서해 최북단 소연평도 남방 2㎞ 해상의 어업지도선에서 해수부 소속 공무원 이모(47)씨가 실종된 뒤, 이튿날 오후 북측 해상에서 기진맥진한 채 표류하는 모습이 우리 군 당국에게 포착됐다. 군 당국은 북한군이 22일 오후 A씨에게 접근했다가 이후 원거리에서 총격을 가한 뒤, 시신(북한은 부유물이라고 주장)에 기름을 붓고 불태우기까지 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발표했다. 우리 정보 당국은 감청 첩보를 토대로 이씨가 월북을 시도했다고 밝힌 반면, 북한은 통지문에서 이씨를 ‘침입자’로 규정하며 그가 신분을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통지문엔 김 국무위원장이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