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일본, 첨단기술 보유국 참여 새 수출통제 체제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에 제안 예정

(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등의 첨단기술이 군사적으로 전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부 국가만 참여하는 새로운 수출통제 시스템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참가국이 많은 기존 수출통제 체제와는 달리, 첨단기술을 보유한 국가끼리만 연대하는 제3의 체제를 출범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일본 지바(千葉)시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린 무기전시회 'DSEI 저팬'에서 참석자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현재 안보와 연관된 전력물자 수출 규제는 국제수출통제 체제로 불리는 제도를 통해 세계 각국이 참여해 정기적으로 논의, 결정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국제수출통제 체제는 지향하는 목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일례로 냉전 종료 후인 1996년 출범한 '바세나르(네덜란드 지명) 체제'는 다자간 전략물자 수출통제체제다.

이를 통해서는 범용 장비 및 부품의 군사 전용을 막기 위한 규제 품목을 다룬다.

닛케이는 이런 틀은 각각 수십 개국이 참가해 의사 결정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면서 현안이 생길 때마다 신속하게 논의해 단기간에 규제 품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새 체제에서 다룰 수출통제 품목으로 거론되는 것은 ▲ AI·기계학습 ▲양자컴퓨터 ▲바이오 ▲극초음속 등 4개 분야가 중심이다.

일본 정부는 미국,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에 새 체제를 제안해 이르면 내년 중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parksj@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