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길 헤매던 '달 궤도선' 개발 안정화…항우연 "2022년 8월 발사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임철호)은 달 궤도선 개발 과정이 과거 시행착오 시기를 지나 본궤도에 올랐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는 2022년 8월 1일부터 발사가 가능할 것으로 봤다. 달 궤도 안착 시점으로는 같은 해 12월 16일을 잡았다.

이상률 달탐사사업단장은 '항공우주 과학 아카데미'를 통해 시험용 달 궤도선(KPLO) 개발현황과 향후 일정 등을 소개했다.

전자신문

이상률 달탐사사업단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달 궤도선은 특히 지난해 많은 부침을 겪었다. 궤도선 중량에 대한 것이 대표적으로 불거진 문제였다. 당초 550㎏이던 중량이 678㎏으로 증가하면서 설계 확정이 늦어졌고, 연료 부족 탓에 달로 향하는 궤적도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지 않은 길'인 만큼 현실성이 있는지가 미지수였다. 미항공우주국(NASA) 이견도 있었다. NASA는 궤도선에 실리는 '섀도캠(ShadowCam)'을 활용, 달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하고자 하는데, 궤적 변경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였다.

전자신문

시험용 달 궤도선 형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단장은 현재 이 문제들이 해결됐다고 강조했다. 달로 가는 궤적의 경우 전담팀을 통해 달 전이 궤적(BLT/WSB)을 자체 설계,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했다. 몇 차례 버전 변경을 거쳐, 지난 7월 3일 NASA와 제트추진연구소(JPL)로부터 결과에 동의하는 최종 확인을 받았다. 현재 오차 확률을 고려한 설계를 진행 중이다.

전자신문

전이궤적 설계 결과(KBT 2.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발 사업 일정도 현재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발사일정이 3개월 지연됐는데, 구조체 비행모델 제작, 궤도선 기계조립 등에서 총 4개월가량 다시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공학모델(EM)의 경우 납품을 모두 마쳤고, 비행모델(FM) 납품은 80% 수준 진척을 보이고 있다. 내달 말에는 FM 총조립 시험에 나선다고 밝혔다.

발사용역계약 변경을 마치고, 10월 적정성 재검토를 통한 추가 소요 예산 확보도 예상하고 있다.

이 단장은 “기술적인 중량 문제가 발생했는데, 관리가 안 되면서 일정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가 생겼다”며 “현재는 안정적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