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형사1부(김덕곤 부장검사)는 최근 의혹 당사자인 서씨와 추 장관의 전 보좌관 최모씨, 당시 미2사단 지역대 지원장교 김모 대위의 주거지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은 지난 19일 최씨와 김 대위의 사무실과 주거지를, 21일 전북 전주에 있는 서씨의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바 있기도 하다.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증거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다만 서씨와 최씨, 김 대위의 휴대전화를 확보해 이들의 통화 내역을 살핀 것으로 보인다. 최씨와 김 대위는 서 씨의 휴가연장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3차례 이상 통화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12일과 13일 최씨와 서씨를 각각 소환 조사하고 15일에는 국방부 민원상담센터, 국방전산정보원 등을 압수수색해 국방부 민원실 녹취파일을 확보했다.
최근 검찰 수사에 탄력이 붙으면서 추석을 앞두고 기소 여부가 결정되거나, 중간 수사 결과 발표가 있을 것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피고발인인 추 장관에 대한 조사도 추석 이전에 진행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일각에선 서씨와 최씨, 김 대위 등을 최근에서야 조사한 것을 두고 검찰의 수사가 국정감사를 의식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추석 연휴가 끝난 뒤 진행되는 국정감사에서 '수사 뭉개기' 의혹과 관련해 공세가 펼쳐지는 상황만은 막으려 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해 12월 추 장관의 인사청문회에서 서씨의 군 휴가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1월3일 추 장관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근무 기피 목적 위계의 공동정범, 군무이탈 방조 혐의로 고발했다. 서씨에게도 군무이탈, 근무 기피 목적 위계 혐의가 있다고 함께 고발했다. 서씨가 군 복무를 과정에서 추 장관의 전 보자관 등이 군 관계자에게 수차례 문의 전화를 했고, 이를 통해 휴가를 연장했다는 의혹 등이다.
검찰은 지난 6월까지 김 대위나 당시 당직사병 현모씨·미2사단 본부대대 지원대장 권모 대위·미2사단 지역대장 이모 중령 등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