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페이스실드 제작 3D 프린터'…과학기술 ODA로 개도국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2021년 과학기술·ICT 내년도 예산 196억원 신청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공적 개발원조(ODA) 사업예산을 전년보다 증액된 196억원으로 요구했다고 2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개도국 과학기술지원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과학기술·ICT 공적 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해 개도국 주민들의 생활개선에 힘썼다. 과학기술분야에서는 각 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을 통한 글로벌 문제해결거점(7개국 지원, 2개국 종료)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탄자니아 글로벌 문제해결거점에서는 오토바이 등 현지 교통수단의 전력을 활용한 저가의 이동형 백신 냉장고를 개발해 현지 보건소에 6대를 보급했다. 인근 국가인 우간다와 에티오피아에도 각각 2대씩을 전하는 등 오지지역 백신운송에 기여하고 있다.

베트남 글로벌 문제해결거점에서는 낮은 상수도 보급과 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식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빗물 식수화 시설 및 절수형 화장실을 설치했다.

그 밖에도 글로벌 문제해결거점에서는 정·하수 처리시설 및 농산물 처리, 태양광 발전소 등 지금까지 62건의 적정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4300여명의 인력을 육성하는 등 약 7만여명의 주민들에게 경제적, 복지적 수혜를 제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내년부터는 특허청과 협업해 그간의 성과를 발전·확산시켜 기술사업화까지도 연결되도록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ICT 분야에서는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정보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48개국 58개 도시에 정보접근센터를 지원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만연한 상황에서 파라과이 정보접근센터는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의료용 페이스 쉴드를 제작해 병원에 보급했다.

정희권 국제협력관은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ICT를 활용하여 개도국의 자립역량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해왔다"며 "비대면 사회의 도래 등 국제사회의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개도국의 수요와 만족도가 높은 ODA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지원하고, 다부처 융합사업을 강화해 나가도록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seungjun241@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