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에스티, 전기트럭용 축냉 탑차 개발…친환경 바람 예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로 위를 달리는 아이스박스'로 불리는 축냉 탑차가 전기트럭에도 첫 적용돼 물류업계에도 친환경 바람이 불 전망이다. 경유 화물차를 전기트럭으로 대체할 경우 유류비용 절감과 함께 미세먼지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솔루션 전문회사인 이에스티는 대량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상변화물질을(PCM,Phase Change material) 이용해 미리 정해진 냉장·냉동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축냉 시스템을 전기트럭에도 적용, 올 연말부터 공급할 계획이다.

이에스티의 축냉 시스템은 탑차 천정에 냉기(얼음)을 저장하는 PCM모듈을 설치하는 단순한 구조로 설계됐다. 전기를 이용해 모듈에 냉기(얼음)을 저장하면 다음날 배송 과정에서 탑차의 엔진을 꺼도 정해진 냉동·냉장 온도가 유지되는 시스템이다.

축냉 시스템을 적용한 탑차는 통상 배송을 끝낸 후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심야전력으로 모듈을 얼리고 낮 동안에 원하는 온도의 냉기가 냉동·냉장 칸에 유지된다.

이에스티의 축냉 시스템을 적용하면 전기트럭의 구동용 배터리 외에 냉동·냉장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 없는 게 특징이다. 이에 따라 전기트럭의 무게가 더 나가지 않고 가격이 더 들지도 않는다. 배터리의 에너지로는 제약이 있는 냉동·냉장 온도관리 문제도 해결된다.

이정근 이에스티 대표는 "축냉 시스템은 외부 전력을 이용, 축냉의 과정을 거쳐 사전에 충분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디젤 차량의 엔진을 꺼도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것과 같이 전기트럭에도 추가 작업 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와 자동차 업계는 2023년 4월부터 대기관리권역법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전기트럭 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주요 택배 유통업체를 위해 전기 화물차 구매 보조금을 별도 배정해 지원키로 했으며 환경부는 당초 2022년까지 지급할 예정이었던 전기차 보조금을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현대 기아차는 1톤 규모의 소형 전기화물차의 생산을 늘려갈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