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방역 열심히 했는데" 화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에 '허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야생멧돼지 남하 차단 광역 울타리 설치하고 2만8천두 포획

연합뉴스

화천서 강원도 내 첫 농가 ASF 발생
(화천=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강원 화천군의 한 양돈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확인된 9일 오전 해당 농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살처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0.10.9 yangdoo@yna.co.kr



(화천=연합뉴스) 이재현 기자 = '돼지 흑사병'으로 불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강원 화천의 양돈농장에서 발생하자 인근 농가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9일 강원도에 따르면 사육 돼지에서 발생한 것은 지난해 10월 9일 이후 꼬박 1년 만이다.

이 질병은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지만, 돼지는 한 번 감염되면 폐사율 100%에 이르는 치명적인 병이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 약이 개발되지 않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감염된 돼지 및 돼지 생산물의 이동, 오염된 남은 음식물의 돼지 급여,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그래픽] 국내 양돈농장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잠복기는 3일에서 최장 21일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화천의 양돈농장은 철원군 도축장에 어미돼지(모돈) 8두를 출하했다.

이 중 3두가 폐사하자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정밀분석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됐다.

해당 화천군 양돈농장은 돼지 940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해당 농장의 돼지 전부와 인근 10㎞ 내 양돈농장 2곳의 사육 돼지 1천525마리를 살처분 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화천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농가 통제
(화천=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강원 화천군의 한 양돈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확인된 9일 오전 해당 농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해당 농장 입구를 통제하고 있다. 2020.10.9 yangdoo@yna.co.kr



또 오전 5시부터 11일 오전 5시까지 48시간 동안 경기·강원의 돼지농장과 도축장·사료공장·출입 차량 등 축산시설 등에 대해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1년 만에 발생하자 그동안 차단에 안간힘을 기울여온 방역당국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도내에서는 지금까지 358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야생 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됐다. 지역별로는 화천 290건, 철원 33건, 양구 15건, 인제 13건, 고성 4건, 춘천 3건 등이다.

민간인통제선 안쪽(북쪽)에서는 52건, 바깥쪽(남쪽)에서는 306건이 발생했다.

방역당국은 이로 인한 감염 경로를 차단하고자 광역 울타리를 설치하고 야생멧돼지 남하를 막았다.

화천군과 철원군 등 5개 접경지역의 17개 읍면 162개리를 제한적 총기 포획 지역으로 확대했다.

650명의 포획단을 운영하고 포획 틀과 포획 트랩을 각 757곳과 365곳에 설치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선제적으로 포획한 야생멧돼지는 총 2만8천397두에 달한다.

도 관계자는 "감염 경로를 파악 중이지만 현재로서는 야생멧돼지로 인한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며 "지난 1년간 야생멧돼지 포획 등 차단 방역에 최선을 다했는데 이번 사육 돼지에서 ASF가 발생해 아쉽게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화천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농가 통제
(화천=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강원 화천군의 한 양돈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확인된 9일 오전 해당 농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해당 농장 입구를 통제하고 있다. 2020.10.9 yangdoo@yna.co.kr



j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