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운전석 빈 자율주행 호출택시 미국서 탈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글, 세계 첫 무인 자율주행차 공식 운행

피닉스서 시작…시범 서비스 이용자 1500명

“수주 내 시작…앱으로 누구나 이용 가능”


한겨레

웨이모의 완전 무인 자율주행 호출택시. 웨이모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의 자율주행차 개발업체인 웨이모가 운전석에 안전요원이 탑승하지 않은 완전 무인 자율주행차 운행을 공식적으로 시작한다. 운전석을 비워둔 채로 자율주행차 운행을 하는 것은 웨이모가 처음이다.

웨이모는 8일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교외에서 완전 무인 자율주행 호출택시 서비스를 수주 안에 일반인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여름 한정된 고객 수백명을 대상으로 완전 무인 자율주행차 서비스인 ‘얼리 라이더’ 프로그램을 시작한 지 1년여만이다. 공공도로에서 승객을 태우고 자율주행차를 시험운행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계산하면 5년만이다.

웨이모는 피닉스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용 차량은 크라이슬러의 미니밴 퍼시피카를 개조한 것이다.

웨이모의 존 크라프치크 사장은 “기술을 넓혀가는 과정은 험난했다”고 밝혔다. 그는 “처음에 3대의 차를 완전 무인 자율주행 상태로 피닉스 도로에 내놓고 운행하기까지 2년이 걸렸고, 이를 100대로 늘리는 데 다시 1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웨이모는 그러나 3월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잠시 운행을 중단하기도 했다. 그때까지 웨이모의 앱을 통해 완전 무인 자율주행 호출택시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은 1500여명에 이른다. 1주일에 평균 1500회 차량을 운행했으며, 이 가운데 5~10%는 완전 무인 상태로 운행했다고 웨이모는 밝혔다.

한겨레

자율주행 택시는 앱을 이용해 호출한다.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웨이모가 현재 확보해 놓은 자율주행 호출택시는 300여대다. 승객들은 무료로 ‘웨이모 원’ 앱을 통해 이 가운데 한 대를 부를 수 있다. 승차 경험 비공개를 조건으로 했던 ‘얼리 라이더’ 프로그램과는 달리, 이번에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승차 경험을 공유하는 것도 허용된다. 웨이모는 일부 차량에는 안전 요원을 탑승시킬 계획이다. 다만 차량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에 벽을 설치할 때까지는 모든 차량을 완전 무인 운전 상태로 운행한다. 이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조처다. 웨이모 무인 차량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직원이 운행 상황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차량에는 8개의 카메라가 설치해 놨다.

웨이모는 올해 초 사모펀드 및 벤처투자자들로부터 30억달러 이상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웨이모가 구글 외부로부터 투자금을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내비건트 리서치는 지난 3월 자율주행차 기술 평가 보고서에서 웨이모와 포드, 크루즈(지엠 자회사), 바이두(중국) 4개 업체를 선두그룹으로 분류한 바 있다. 이 보고서에서 웨이모는 전략과 실행력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받았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