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아프리카 돼지열병 중수본 “경기·강원 양돈농가 1288곳 의심 사육돼지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전날 경기·강원 지역 양돈농가 1288곳에 대해 전화 예찰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의심되는 사육돼지 등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13일 밝혔다.

중수본은 앞서 12일 소독차량 189대와 인력 131명을 동원해 접경지역의 야생멧돼지 양성 검출지점과 주변 도로, 농장 진입로를 소독했고, 소독차량 907대를 동원, 전국 양돈농장 6066곳에 대한 소독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사육 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1년 만에 재발한 강원 화천군 내 양돈농장 12호에 대해서는 전용 사료 차량 3대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사료공장에서 운반된 사료는 화천군 내 별도 사료 환적장에서 전용 사료 차량으로 옮겨 싣고 사료 환적장에 설치된 소독시설을 통해 차량과 운전자를 소독한 후 소독필증을 발급한다.

두 번째 확진 농장의 농장주가 소유한 경기 포천의 양돈농장 2곳 사육 돼지 1833마리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도 완료했다.

야생멧돼지 대응도 강화했다. 주변 광역 울타리를 지난 11일까지 점검하고 보강을 완료했으며 멧돼지 이동 길목에는 기피제를 살포했다.

화천군 수색팀 59명과 소독팀 8명은 10∼11일 발생농장 주변 폐사체, 야생멧돼지 흔적 등 감염원을 제거하는 데 투입됐고, 전날부터는 비발생 양돈농장 인근 산악지대 등을 대상으로 집중 수색과 소독을 시행 중이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겸 중수본부장은 “단풍철을 맞아 산행이 잦아지면서 야생멧돼지 발생지역에서 양돈농장으로 오염원이 유입될 우려가 커졌다”며 “양돈농장 종사자는 접경지역 산행을 하지 않고 일반 산행객들도 농장과 축산시설 방문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