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삼성·노키아장비 쓰면 금융지원"…美, 개도국에 `反화웨이` 설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정부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을 상대로 화웨이·ZTE 등 중국 통신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금융지원을 약속하겠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대중 압박성 '반(反)화웨이' 제재가 삼성전자를 비롯한 노키아, 에릭슨 등 대체 가능한 통신장비 제조사들의 반사이익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보니 글릭 미 국제개발처(USAID) 차장이 "중국 대신 다른 민주주의 국가의 공급자로부터 통신장비를 구입하는 나라에 수십억 달러 규모 대출이나 자금조달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는 뜻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미 국제개발처는 주로 식량지원 등 대외원조를 담당하는 국무부 산하 정부기관으로, 금융지원이 현실화할 경우 미 개발금융공사(DFC) 등 별도의 금융기관을 통해 절차가 진행된다.

USAID는 추후 현지 정치인과 규제당국 면담을 위해 개도국에 직원을 파견할 계획이다. 중국 통신장비업체들이 스파이 공격에 취약하다는 사실과 중국 국영은행으로부터의 금융지원은 결국 '족쇄'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할 방침이라고 WSJ는 전했다. 글릭 차장은 당장 지난 주말 핀란드를 방문해 정부와 노키아 관계자들과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릭 차장은 중국 통신장비업체와 관련해 "(계약자에게 불리한) 세밀한 조항들이 많다"며 "개도국들이 엄청난 빚에 시달리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이들 국유재산을 장악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 내 5G 무선통신장비를 만드는 주요 대기업이 없는 관계로 삼성전자(한국)·노키아(핀란드)·에릭슨(스웨덴) 등 해외 관련 업체들에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WSJ는 "이번 제안은 워싱턴이 대중 기술전쟁을 격화시키면서 채택한 새로운 장치"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화웨이·ZTE 관련 규제는 공화·민주당에 따라 달라지는 목표가 아니다"라는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며 "다음달 대선 결과와는 상관없이 미국의 이 같은 압박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최근 화웨이를 둘러싼 미·중 기술전쟁이 격화하면서 미국 정부는 전 세계 주요국을 상대로 '반화웨이' 전선에 동참할 것을 요구해왔다. 반면 아프리카대륙에선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화웨이가 시장을 장악했다. 지금까지 유럽 등 서방국 중심으로 대중 압박이 이뤄진 가운데 이번 미국 정부의 제안은 친중성향이 강한 아프리카까지 대상을 넓혀 압박을 키우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앞서 SCMP는 최근 미국의 견제로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화웨이가 아프리카시장에서는 환영받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신사 레인, 케냐 최대 이동통신사 사파리컴 등이 화웨이를 포함한 중국 업체들의 장비를 채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고보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