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2020 미국 대선

트럼프는 “GREAT”, 바이든은 “BACK”을 외쳤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월 트럼프·바이든 유세 ‘단어 분석’
트럼프 great·china·win 등 주로 언급
바이든 back·plan·crisis 등 이용해

공통적으로 많이 언급한 건 ‘일자리’
둘다 오대호 접한 이리 카운티 방문
경합주 표심 가를 근로자들에게 호소

바이든 “방식 변경 없음 암흑의 겨울”
트럼프 “트럼프란 사내에게 투표했다”
서울신문

24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에서 유세 연설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uild Back Better”(더 나은 재건·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 vs “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 대선의 두 후보가 막바지 표심 획득을 위해 집중하는 유세 연설의 핵심 내용이다. 이달 들어 23일(현지시간)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13번, 바이든 후보는 11번의 연설을 했다. 트럼프는 ‘GREAT’(위대하게)라는 단어를 730회나 외쳤고, 바이든은 ‘BACK’(과거로)을 134회 가장 입에 올렸다. 둘이 한목소리로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job’(일자리)였다. 양측 모두 결국 일자리 전쟁에서 승부가 날 것으로 본 셈이다.

25일 서울신문이 두 후보의 유세 연설을 분석(유세로서 의미가 담긴 단어로 한정)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은 13번의 연설에서 일자리(job·252회), 투표(vote·216회), 중국(china·209회), 역사(history·185회),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incredible·179회), 승리(win·169회) 등의 단어를 주로 언급했다.

‘중국’은 코로나19 책임론 등 소위 중국 때리기에서 등장했다. 경기활성화, 멕시코 국경 봉쇄 등 자신의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상황에서는 ‘역사’상 최고라거나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 성과라는 표현이 많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대선이 자신의 ‘승리’라는 확신에 찬 표현도 즐겨 썼다.

반면 바이든 후보는 11번 연설에서 일자리(job·89회), 일하다(work·68회), 계획(plan·67회), 더 나은(better·59회), 투표(vote·51회), 위기(crisis·41회), 의료서비스(health care·41회) 등을 자주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경제·흑인시위 등 3대 실정을 비판하는 상황에서 트럼프는 ‘계획’이 없다는 비판을 주로 했고, ‘위기’ 전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신문

24일(현지시간) 펜실베니아주에서 유세 연설 후 부인과 포옹을 나누는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양측 모두 ‘일자리’ 확대를 공언했고, 지지세력에 ‘투표’를 호소했다. 일자리 전쟁은 두 후보의 행보에서도 드러난다. 둘다 인구 약 11만명의 펜실베이니아주 작은 도시 이리를 각각 찾았다. 오대호를 접하고 있으며 대졸자 비율이 낮고 백인 비율이 85%가 넘는 공업지역인 이리는 민주당의 텃밭이었지만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뺏긴 제조업 일자리를 되찾자’고 공언하면서 처음으로 뒤집혔다. 현재는 펜실베이니아를 넘어 러스트벨트(노후된 공업지대) 표심의 가늠자로 여겨진다.

대선을 열흘 앞둔 24일 바이든 후보는 펜실베이니아주 브리스틀 타운십 유세에서 “(코로나19에 대한) 방식을 변경하지 않는다면 암흑의 겨울이 될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은 대통령이 여러분보다 주식시장에 더 많은 신경을 쓰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주에서 사전투표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나는 트럼프라는 이름의 사내에게 투표했다”고 말했다. 이어 “(사전 현장투표는) 매우 안전한 투표다. 우편투표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며 우편투표가 부정 선거에 취약하다는 기존 주장을 반복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