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10조 원이 넘는 상속세 마련 방안과 관련해서는 배당 확대 방안을 비롯해 지분 보유 계열사에 대한 일부 매각, 삼성가의 개인적인 파이낸싱 방안 등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됐다.
|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건희 회장 별세에도 삼성그룹 지배구조에는 큰 변화는 없을 전망"이라며 "2018년 순환출자 완전 해소로 현행 지배구조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으며, 지배주주 3세대 역시 보유한 계열사 지분과 상관없이 그룹 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지배주주 일가의 지분은 배당수입과 삼성그룹 지배력 유지 측면에서 삼성전자, 삼성물산에 집중될 것"이라며 "여타 지분 처분에도 부족한 재원은 삼성전자 배당정책 강화를 통해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적용되는 상속세(약 10조9000억원)를 가족들이 향후 5년간 6회에 분납한다고 해도 매해 약 1조8000억원의 상속세를 내야 하는데 재원 마련이 가장 큰 숙제"라며 "충분하지 않지만 상속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배당 확대 정책을 예상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재용 부회장 등이 이 회장의 삼성전자, 삼성생명 지분을 모두 상속받을 경우 발생하는 상속세를 마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유지분의 배당금과 가족들의 개인적인 파이낸싱 방법을 활용할 가능성 등도 거론됐다.
유 연구원은 "현재 가족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지만, 매해 1.8조 원의 상속세를 배당소득으로 감당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며 "가족들의 개인적인 파이낸싱을 통한 재원 마련 가능성도 높다"고 진단했다.
|
반면 문지혜 신영증권 연구원은 보유 지분 매각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봤다. 문 연구원은 "특히 보험업법 개정시 관계사의 특수관계자의 삼성전자 지분율이 대폭 낮아지기 때문에 경영권 방어 등을 위해 삼성전자 및 주요 관계사의 지분 매각은 이루어지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배당 강화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관계사는 이재용 부회장 등이 주요 지분을 들고 있는 삼성전자, 삼성물산과 금융 계열사 정점에 있는 삼성생명 등이다. 우선 삼성전자가 새로운 주주환원 정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주주환원이 좀 더 확대되는 방향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해왔다.
여기에 삼성전자의 최대주주인 삼성생명의 배당 확대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생명이 삼성화재, 카드, 증권, 자산운용 등 금융 계열사 지분구조의 정점에 있고 각 금융 계열사들의 견조한 이익 창출력을 감안하면 상속세를 연부연납하는 과정에서 삼성생명의 배당금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zunii@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