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반값 아파트’ 보급해 집값 잡는다?… “결국 로또 아파트 될 것”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억 아파트 1억 내고 입주… 2023년부터 점진 분양

수십 년간 이사 못 하는 단점… “로또 분양 될수도”

세계일보

사진=뉴시스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위한 대책으로 지속적으로 논의선상에 올랐던 ‘반값아파트’ 업그레이드판, 즉 ‘지분 적립형 주택(이하 지분형 주택)’을 꺼내 들었다. 입주자가 주택 분양가의 20∼25%만 내고 입주한 후 수십년간 남은 지분을 나눠 내 결국 소유권을 획득하는 개념이다. 하지만 실수요자에게 주택을 공급해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힘을 보태겠다는 정부의 의도와 달리 지분형 주택도 결국 소수의 운 좋은 사람만 혜택을 보는 ‘로또 아파트’에 그치리란 비판도 나온다.

◆5억원 아파트 1억원 내고 입주… 홍남기 “2023년부터 점진적 분양”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토지·건물 지분의 20~25%만으로 주택을 분양받아 입주하고 이후 20~30년에 걸쳐 남은 지분을 취득하는 지분적립형 주택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지난 8월 제안했던 지분형 주택의 구체화된 사업 구조를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분양자는 최초 분양 시 토지·건물 지분의 20∼25%만을 취득해 입주할 수 있도록 하되 입주 후 공공지분에 대한 임대료는 시세 대비 낮은 수준으로 책정할 것”이라며 “이후 4년마다 10∼15%씩 균등하게 나누어 취득함으로써 20∼30년 후 주택을 100%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5억원 분양가 주택은 초기 1억원을 내고 입주한 후 임대료를 지불하며 거주한다. 나머지 4억원은 20∼30년간 균등하게 나누어 내는데 최종적으로 입주자가 100% 소유권을 획득하는 방식이다. 투기 방지를 위해 20년간 전매제한, 실거주 요건 등이 부여된다.

세계일보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앞서 노무현정부 때 나왔던 ‘토지임대부’ 주택, 소위 ‘반값 아파트’ 정책과 달리 최종적인 소유가 가능한 점에서 입주자의 주거 안정에 더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홍 부총리는 “지분적립형 주택을 신규 공급주택 중 공공보유 부지, 공공정비사업 기부채납분 등 선호도가 높은 도심 부지부터 점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며 “향후 공급 일정을 감안하면 2023년부터 분양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전문가 “로또 분양” 될 수도… 수십년간 이사 못 하는 것도 단점

정부는 지분형 주택이 무주택자의 내집 마련을 위한 새로운 공공모델이 돼 매매와 전세 시장의 중장기적 안정에 기여하리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수십년 실거주 요건과 전매 제한, 한정된 공급량 등 때문에 지분형 주택이 실거주자의 구미를 당길 수 있을지를 놓고 의구심도 제기된다.

특히 20∼30년간 장기 의무 거주해야한다는 점은 지분형 주택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된다. 단 한 번의 청약 당첨 기회를 비교적 실거주 및 전매 제한 기간이 짧은 인기 지역의 새 아파트 대신 수십년간 한 지역에 묶여 있어야 하는 지분형 주택에 투자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이겠느냐는 물음이다. 자녀 계획이 있거나 이직 등의 변수가 있는 신혼부부라면 더욱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

세계일보

사진=연합뉴스


또한 거주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이사할 경우 소유권을 100% 획득하지 못한 상황이라 집값 상승분에 대한 시세차익 배분도 불확실하다. 초기 분양 예상 물량이 1만∼3만호 정도로 한정된 탓에 시장 흐름에 큰 영향을 주기엔 역부족일 뿐더러 결국 극소수만 혜택을 받는 ‘로또 분양’이 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분형 주택의 장점은 ‘기존의 대출규제를 피해 실수요자에 대한 사실상의 대출완화’의 기능”이라고 설명했다. 지분형 주택 입주자에게 실질적으로 60∼80%의 대출을 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얘기다.

이 연구원은 “다만 지분형 주택 역시 결국 로또 분양이 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 도심 인기 지역의 적립형 주택의 초기 분양가와 수십년 후 시세 차이가 클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지적이다. 총분양가를 인근 시세 수준으로 높인다면 로또 분양 문제는 해소되지만 100% 소유권자의 시세차익을 공공이 회수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갈등도 예상된다.

나진희 기자 na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