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대도시 덮친 전세난…지방·광역시 집값은 8년만에 최고 상승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규제' 김포 아파트값 2주간 4% 폭등…부산 수영구도 2% 뛰어

서울 전셋값 71주 연속 올라…인천 연수구 2주간 3% 상승 등 지방도 전세난 심각

연합뉴스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창에 붙은 '귀한' 전세 매물 정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전세 품귀로 빚어진 전세난과 비규제지역에 몰린 투자 수요 등 여파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집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서울 외곽과 수도권에서는 전세난에 지친 세입자들이 중저가 주택 매수에 나서며 집값이 안정되지 않고 있고, 김포·부산 등 비규제지역에는 투자수요가 몰리며 집값이 단기간에 급등하고 있다.

정부가 전세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묘수를 찾기는 쉽지 않아 전세난 장기화가 우려된다.

다만, 부산·김포 등 집값이 뛰어오르는 비규제지역에 대해서는 정부가 다시 규제지역으로 묶어 집값 상승을 억누를 가능성이 있다.

연합뉴스


◇ 전국 아파트값 4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비규제' 김포 2주간 4% 급등

한국감정원은 11월 둘째 주(9일 기준)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이 0.21% 상승해 지난주(0.17%)보다 오름폭이 커졌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주 상승률은 올해 6·17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넷째 주(0.22%) 이후 4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최근 서울과 수도권 전셋값이 억 단위로 뛰면서 전세 수요가 중저가 주택 매수로 돌아서 집값을 밀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방에서는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 및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주요 지역,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매맷값이 올랐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아파트값은 이번 주 0.02%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 10주 연속으로 0.01% 올랐던 것에서 상승 폭을 소폭 키운 것이다.

연합뉴스

집은 많은데 살 집은...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2일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모습. 정부가 새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시행한 지 석 달이 지났지만 전·월세 물건은 없고 가격만 오르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 주 정부의 전세난 해결책 발표는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2020.11.2 xyz@yna.co.kr



서울에서는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지난주 0.08% 상승으로 서울에서 가장 상승률이 높았던 중랑구는 이번 주 0.04%로 강북구(0.03%→0.04%)와 함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광진구(0.01%→0.03%)와 강서구(0.02%→0.03%), 관악·노원구(0.03%→0.03%) 등 4곳이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강남 3구는 전반적으로 매물이 쌓이면서 고가 단지 위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일부 중소형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며 강남·서초·송파구 모두 보합(0.00%)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15%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도는 지난주와 같이 0.23% 상승했으나 인천은 지난주 0.15% 상승에서 이번 주 0.16% 상승으로 오름폭을 키웠다.

6·17 대책에서 비규제지역으로 남은 김포시는 아파트값이 지난주 1.94% 오른 데 이어 이번 주 1.91% 상승하면서 2주 만에 무려 4% 가깝게 폭등했다.

김포 A 공인 관계자는 "서울 전세난에 쫓긴 수요가 아직 상대적으로 저렴한 김포에 아예 집을 사러 내려오고 있다. 지하철이 닿는 단지를 중심으로 한 달 새 1억∼1억5천만원씩 뛰었고, 이제는 집주인들이 물건을 거둬들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지방·5대광역시 집값 역대 최고로 올라…부산 수영구 1.13%↑

지방의 집값도 들썩이며 불안한 모습이다.

지방 아파트값은 이번 주 0.27% 올라 한국감정원이 이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2년 6월 이후 8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지방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을 말한다.

수도권인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의 아파트값도 지난주 0.29% 오른 데 이어 이번주 0.39% 상승하며 역대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5대 광역시 중 부산은 이번 주 0.56% 올라 역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 상승을 기록했다.

부산은 작년 11월 모든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면서 수도권보다 대출 청약, 세제 등에서 느슨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다.

부산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달 이후 이번 주까지 6주 동안 0.12%→0.18%→0.23%→0.30%→0.37%→0.56%로 매주 상승 폭을 키우는 중이다.

부산에서는 수영구(0.61%→1.13%)가 전주 대비 2배 가까이 상승률이 높아지며 2주간 2% 가깝게 올랐고, 해운대구(0.84%→1.09%), 연제구(0.59%→0.88%), 남구(0.52%→0.81%), 부산진구(0.43%→0.81%), 동래구(0.50%→0.79%) 등 대부분 지역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연합뉴스

부산 수영구 남구 아파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 수영구 남천동의 재건축 추진 아파트인 삼익비치 전용면적 131.27㎡는 지난달 29일 20억9천만원(5층)에 신고가로 매매됐다. 이는 같은 면적 아파트가 9월 17억3천500만원(7층), 올해 1월 11억5천만원(4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오른 것이다.

이 아파트 73.92㎡는 7월 7일 매맷값이 11억원(5층)에서 지난달 24일에는 13억5천만원(7층)으로 뛰었는데, 해당 면적은 연초 7억6천만∼7억9천200만원에 매매됐다.

대구 수성구는 투기과열지구임에도 지난주 0.69% 상승에 이어 이번 주 1.11% 오르며 상승 폭이 눈에 띄게 커졌다.

수성구 범어동 범어쌍용예가 전용 84.98㎡는 연초 7억3천만원(9층)에 매매됐던 것이 8월 8억2천만원(20층), 9월 8억4천만원(10층)까지 오른 뒤 현재 시세는 10억5천만원에 육박한다.

대전 유성구(0.76%→0.67%)나 울산 남구(0.48%→0.53%) 등 지방 광역시의 인기 지역 집값 상승률도 이번 주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8개도 아파트값 상승률 역시 이번 주 0.16%를 기록해 2013년 10월 둘째 주(0.16%) 이후 7년여만에 최고로 올랐다.

전국에서 전주보다 상승률이 낮아진 곳은 충남(0.23%→0.19%)과 강원(0.12%→0.11%), 대전(0.41%→0.37%) 세 곳뿐이었다.

◇ 서울 전셋값 '강남권' 강세 속 71주 연속 상승…인천 연수구 1.83%↑

전세 물량 부족이 초래한 전세난은 진정되지 않고 있다.

이번 주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27% 올라 전주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61주 연속 상승이다.

서울은 0.12%에서 0.14%로 오름폭을 키워 71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다.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새 임대차법이 본격 시행된 8월 첫째 주 0.17% 상승해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10월 1∼3주 0.08% 상승을 유지한 데 이어 4주 0.10%, 11월 1주 0.12%, 2주 0.14%로 최근 들어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서울에서는 강남4구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서초(0.22%)·강남(0.21%)·송파(0.21%)·강동구(0.20%)가 상승률 상위 1∼4위에 오르며 새 임대차법이 본격 시행된 8월 초 급등기 상승률에 근접했다.

강남권 다음으로 고가 아파트가 많은 마포(0.15%→0.19%)·용산(0.12%→0.12%)·성동구(0.07%→0.12%)뿐 아니라 동작구(0.17%→0.19%), 관악구(0.11%→0.17%), 강북구(0.08%→0.15%) 등 외곽 지역도 오름폭을 키웠다.

이번 주 경기(0.24%→0.23%)는 전주 대비 상승률이 둔화했으나 인천(0.48%→0.61%)은 상승 폭이 커졌다.

연합뉴스

남양주시에서 바라본 하남 아파트 단지 일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기도에서는 고양 덕양구(0.44%)를 비롯해 고양 일산 동구(0.36%)·서구(0.32%), 광명시(0.39%), 의정부시(0.39%), 양주시(0.37%), 용인 기흥구(0.33%), 화성시(0.31%), 성남 중원구(0.31%), 구리시(0.30%)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인천에서는 연수구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지난주 1.16%에 이어 이번 주 1.83%로 크게 뛰었고, 중구(0.53%), 남동구(0.49%), 서구(0.45%) 등도 상승을 이어갔다.

연수구의 경우 전세 물량은 있지만 새 임대차법 등의 영향으로 신축 아파트 위주로 집주인들이 4년 치 전셋값을 미리 올려 받으려 하면서 전셋값이 뛰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 얘기다.

지방도 지난주 0.23%에서 이번 주 0.29%로 아파트 전셋값 상승 폭이 커졌다.

세종의 전셋값은 지난주 1.26%에서 이번 주 1.16%로 상승 폭을 줄였다.

부산은 남구(0.59%)와 연제구·동래구(0.54%)·기장구(0.52%)·해운대구(0.45%) 등을 중심으로, 대구는 수성구(0.82%), 울산은 북구(0.59%)와 남구(0.56%), 대전은 유성구(0.51%) 중심으로 각각 상승률이 높았다.

감정원은 "청약 대기 수요, 거주요건 강화 등의 영향으로 거래 가능한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학군과 역세권 등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전셋값이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