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인천 옹진군수 "영흥도 폐기물매립지 철회하라" 단식농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민들 "협의 없는 추진은 기망 행위…계획 철회 요구"

인천시 "관련 의혹 사실 아니다…주민협의체 구성해 의견 수렴 방침"

연합뉴스

영흥도 폐기물매립지 계획 반발 천막
(인천=연합뉴스) 윤태현 기자 = 1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 행로에 영흥도 폐기물매립지 조성 계획에 반발하는 천막이 설치돼 있다. 장정민 옹진군수는 이날 이 천막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2020.12.1 tomatoyoon@yna.co.kr (끝)



(인천=연합뉴스) 윤태현 기자 = 인천시가 옹진군 영흥도에 자체 폐기물 매립지인 '에코랜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장정민 옹진군수가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나섰다.

장 군수는 1일 오전 8시께 인천시청 앞에 설치한 천막에 들어가 무기한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이 천막에는 '영흥 주민을 두 번 죽이는 영흥 쓰레기 매립지 추진 즉각 철회하라', '영흥면민에 대한 사형선고 당장 철회하라' 등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그는 "영흥도는 석탄 화력발전소가 있어 미세먼지 등 주민 피해가 막심한 지역인데 인천시가 주민이나 옹진군과 협의도 없이 이곳에 40년간 사용할 폐기물매립지를 조성한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단식농성의 이유를 밝혔다.

이어 "영흥도를 폐기물매립지 후보지로 선정하는 과정도 투명하지 못하다"며 "인천시가 계획을 철회할 때까지 무기한 농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영흥도 주민들로 구성된 '영흥면쓰레기매립지건설반대투쟁위원회'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인천시를 규탄했다.

주민들은 성명을 통해 "인천시는 하루 쓰레기 매립량 300t 이상, 조성면적 15만㎡ 이상의 매립시설은 주민이 참여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관련 규정을 피하려고 영흥도 폐기물매립장을 14만8천500㎡로 설계했다"며 인천시가 주민 의견 수렴을 고의로 회피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인천시는 자체 매립지 입지선정 조사 연구 용역이 종료되기도 전에 영흥면을 매립지 후보지 1순위로 발표하는 등 영흥도 주민을 기망하고 있다"며 "석탄 화력발전소에 폐기물 매립장까지 조성하는 것은 주민들에게 영흥도에 살지 말라는 엄포"라며 인천시에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연합뉴스

단식 농성하는 장정민 옹진군수
(인천=연합뉴스) 윤태현 기자 = 장정민 인천 옹진군수가 1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 설치된 천막에서 영흥도 폐기물매립지 조성 계획에 반발하는 단식농성을 하고 있다. 2020.12.1 tomatoyoon@yna.co.kr (끝)



인천시는 영흥도 주민들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영흥도 폐기물매립장 규모는 용역 결과상 매립량이 161t으로 책정되면서 정한 것이기 때문에 고의로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회피한 것은 아니다"라며 "해당 용역은 내년 3월 31일 종료가 계획됐지만 이미 앞서 완료가 되면서 지난 10월 최종보고회까지 마쳤기 때문에 용역이 끝나기도 전에 발표했다는 지적은 적절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주민 의견 수렴이 없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현재 옹진군에 주민협의체 구성을 공식 제안한 상태이며 협의체가 꾸려지면 주민 의견을 청취할 방침"이라며 "이번 주 금요일까지 옹진군의 답변을 기다린 뒤 다음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 2024년까지 1천400억원을 들여 옹진군 영흥면에 에코랜드를 조성한 뒤 이곳에 인천 생활폐기물 소각재와 불연성 폐기물을 매립할 계획이다.

에코랜드는 생활폐기물을 그대로 땅에 묻는 기존 직매립이 아닌 지역 내 소각장에서 처리된 생활폐기물 소각재나 불연성 폐기물을 묻는 방식이어서 40년가량 이용할 수 있다.

tomatoyoo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