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美의회 "미군 파병때, 해당국가 화웨이 사용여부 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의회가 중국 업체 5세대(G)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에 군사장비나 병력 파견 시 미 국방부가 안보 리스크를 감안해야 한다는 법을 추진하고 있다.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일부 통신사가 화웨이 5G 장비를 쓰는 한국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염려가 나온다.

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 최종안에 국방부가 화웨이와 ZTE 등 중국 업체 5G 기술을 사용하는 나라에 군대와 장비를 보내는 것에 대해 미 의회가 감시 감독할 내용이 추가됐다. 조항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부대와 장비 등 전력을 해외에 배치할 때 해당 국가 5G 네트워크가 인원, 장비, 작전에 끼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법안은 특히 중국 화웨이와 ZTE가 공급하는 장비를 위험으로 명시했다. 해당 조항이 적용되는 부대 규모는 1000명 이상인 대대급 부대부터고 대상 장비는 '주요 무기 체계'다. 미 의회는 수일 안에 이 내용이 담긴 2021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을 처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 등 중국 통신장비 업체 5G 장비가 중국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왔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동맹과 우방국에 5G 네트워크 구축사업에서 화웨이 등 중국 업체를 배제하라고 강력하게 촉구한 바 있다. 동시에 미 국무부는 중국 회사를 배제한 '클린 네트워크'를 추진하면서 한국에 동참을 요구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한국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에서 LG유플러스가 기지국 등 화웨이 5G 네트워크 장비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 주둔 중인 미군 병력은 2만8500명이다.

미 정보국 출신 수 김 랜드연구소 연구원은 SCMP에 "이 법안으로 한국과 같은 미국의 동맹국이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 수 있다"며 "한국은 미국과 안보 관계, 중국과 무역 동반자 관계 사이에 '끼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에는 결국 안보냐 경제냐 하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 측은 군사시설에서는 관련 장비를 모두 철수시켰고, 미군 지역은 유럽 장비를 사용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모든 장비에 대해 보안 검증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승윤 기자 / 신혜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