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아시아나항공 매각과 인수

'아시아나CC'만 원하는 금호리조트 인수후보들..흥행 성공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재무개선 단비 ‘금호리조트’ 9일 예비입찰

아시아나CC 外 자산 인수 매력도 떨어져..일부 이탈 조짐

원매자들, 적정 밸류 이상 가격 써낼지 미지수..본입찰 완주 여부 주목

[이데일리 김영수 기자] 아시아나항공의 ‘금호리조트’ 보유 지분 매각에 대한 예비입찰 마감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6월말 예정된 한진칼(180640)의 아시아나항공(020560) 인수절차 마무리에 앞서 딜 클로징(잔금 납입)이 이뤄질 경우 재무구조 개선에 단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호리조트 보유 자산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면서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금호리조트의 핵심 자산인 ‘아시아나CC’ 이외 사업성이 낮은 콘도미니엄 등을 패키지로 인수하는데 따른 재무적 부담 때문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호리조트 매각주간사인 NH투자증권과 딜로이트안진은 오는 9일 오후 예비입찰을 마감한다. 이번 매각 대상은 금호리조트의 최대주주인 금호티앤아이(지분율 48.8%)를 포함한 아시아나IDT(26.6%), 아시아나에어포트(14.6%), 아시아나세이버(10%) 등이 보유한 지분 전체로 통영·화순 등 콘도미니엄 4곳, 아산스파비스 등 워터파크 3곳, 아시아나CC·중국 웨이하이포트호텔&리조트 등의 자산으로 구성돼 있다.

매각 측은 앞서 지난 달 18일 인수후보들에게 IM(투자설명서)를 발송했으며 10곳의 원매자들에게 데이터룸을 열었다. 하지만 예비실사를 마친 호반건설, KT(030200) 등 일부 원매자들이 본입찰 전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가장 큰 이유는 아시아나CC 이외 자산들에 대한 밸류가 낮다는 점이다. 콘도미니엄, 워터파크 등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영업실적이 좋지 않은데다 일부 콘도미니엄의 경우엔 인수후 리모델링이 불가피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데일리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시아나CC 전경. 회원제로 운영 중인 아시아나CC는 36홀로 코스면적은 67만평에 달한다. (사진=아시아나C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36홀 규모의 아시아나CC(회원제·경기도 용인)는 코로나19에도 호조세를 보이며 원매자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아시아나CC는 경기도 양지IC에서 약10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명문골프장으로 매각가는 3000억원 안팎 정도가 점쳐지고 있다.

문제는 아시아나CC를 포함한 다른 자산까지 인수할 경우 5000억~6000억원을 지불해야 한다는 점이다. 원매자 입장에선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질 수 있는 셈이다. 실제 금호리조트의 작년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6.4% 감소한 757억원을 기록했으며 37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적자로 돌아섰다. 게다가 일시적인 손상차손까지 겹쳐 32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원매자 측이 수익성 개선을 위해 금호리조트 인수 이후 아시아나CC에 대한 대중제(퍼블릭) 전환을 고려해 볼 수도 있지만 기존 회원들의 반발뿐 아니라 입회보증금 반환에 상당한 시간과 금액이 소요된다는 점은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다.

결국 금호리조트를 통으로 인수한 이후 아시아나CC를 회원제로 유지하면서 다른 보유 자산을 매각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는 장기 보유 목적인 전략적 투자자(SI) 보다는 투자 회수를 위한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하는 사모투자펀드(PEF) 등 재무적 투자자(FI)들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같은 상황 때문에 아시아나항공의 2대 주주(지분율 11.02%)인 금호석유(011780)화학의 입찰 가능성이 높지만 적정 밸류 이상의 가격을 써낼지는 미지수다. 호반건설, KT 등도 자금력이 충분하지만 발을 뺄 가능성이 높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원매자 입장에선 금호리조트 보유 자산 중 아시아나CC 이외 자산을 포함한 전체 밸류 산정에 다소 난처한 모습”이라며 “본입찰까지 완주할 수 있는 원매자들이 얼마나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