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우울증 극복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로 대화·만남 끊겨 더 불안
김씨를 진료한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동우 교수는 “최근 김씨처럼 우울감이 심해져 병원을 찾는 노인 환자가 꽤 많다”며 “바깥 활동이 제한되고 자녀·손주와의 만남도 어려워진 데다 감염병으로 사망 위험이 커지는 데 대한 공포심이 커진 게 원인”이라고 말했다.
노년기엔 다양한 상실을 겪으며 우울증 위험이 커지는 시기다. 배우자와의 사별, 가족과의 분리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감정 조절에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이 저하되고 질병으로 인한 우울감이 커지기도 한다. 따라서 노년기엔 복지관 같은 시설을 다니며 친구들을 만나 시간을 보내고, 자녀·손주를 주기적으로 만나는 것이 기분을 유지하는 방법의 하나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이런 활동이 어려워졌다. 강 교수는 “감염병에 대한 공포까지 더해져 본인이 처해 있는 상황보다 불안감을 훨씬 심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며 “같이 거주하는 가족과 떨어져 지내자고 한다든지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노인 우울증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만성화해 인지 기능에 악영향을 주고 치매 위험도 커진다. 부모님께 주기적으로 전화해 목소리를 살피고 일상생활에 별문제가 없는지 파악해야 한다.
기분 저하가 심각하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강 교수는 “어르신들은 주변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압박감 때문에 ‘괜찮다’며 자신의 감정을 축소해 얘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청소도 늘 하시고, 요리도 즐기던 분이 갑자기 이런 일과를 하지 않거나 친구들과 연락도 잘 안 하는 등 눈에 띄는 변화가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 없이 여기저기 아프다는 것도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다. 노년기 우울증은 소화 기능이 떨어진다거나 모호한 통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어딘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뭔가 불편함을 초래하는 식의 통증 양상을 보인다. 강 교수는 “노인은 신경이 퇴행하면서 그 증상으로 우울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며 “진단을 통해 기분 저하뿐 아니라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인지능력이 변하기도 하는지 여러 측면에서 평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인 우울증은 특정 기간에 치료를 마무리했다고 완치로 이어지는 질환이 아니다. 특히 코로나19라는 상황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만큼 반복되는 일상에서 대처가 필요하다.
디지털 기기 활용해 온라인 세계로
먼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콘텐트 활용법을 부모님께 알려드리는 게 도움이 된다. 강 교수는 “복지관 같은 곳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수업 콘텐트를 운영하고 있다”며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나 새로운 주제를 온라인을 통해 접하도록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일과를 정해 특정 시간엔 정해진 활동을 하도록 일과표를 만드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단조로운 생활 패턴으로 활동량이 확연히 줄어드는 것 자체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강 교수는 “기존에 재미 삼아 소일거리로 하던 일을 하지 못하니 대부분의 노인이 종일 누워서 TV만 시청한다”며 “지내는 공간이 한정돼 있어도 요리, 가족·친구와의 통화, 스트레칭하기와 같은 식으로 해야 할 일을 정해놓고 다양한 활동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노인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가족에게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다. 강 교수는 “혼자 힘든 감정을 끌어안고 지내다가 우울 증상이 심해진 뒤에야 가족이 알게 되면 그것이 외려 더 가족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주변 사람에게 짐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한다는 생각으로 얘기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