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여 “월성원전 방사능 누출, 국회 조사 검토” vs 야 “가짜뉴스, 광우병 시즌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경북 경주 월성원전 앞 바닷가에 출입금지 표지판이 서 있다. 사진은 2015년 당시 월성원전의 모습. 경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12일 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부지 지하수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과 관련해 “국회 차원의 조사 필요성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월성원전 조기 폐쇄 결정과 관련된 검찰 수사를 방해하기 위해 “과학적 사실이 아닌 일부의 주장을 침소봉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여야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한겨레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삼중수소 검출과 관련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외부로의 유출이 없었고, 삼중수소 농도가 주민 건강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이라는 입장이다”며 “하지만 삼중수소는 생체 세포와 결합해 유전자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이다. 지하수 등에서 검출된 것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지역주민들도 삼중수소에 지속적으로 누출되어왔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며 “한수원은 삼중수소의 잠재적 위험성을 감안할 때 유출의 원인부터 철저하게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 차원의 조사 필요성을 언급한 뒤 “정부는 노후한 월성원전의 방사능오염 규모와 원인, 관리부실 여부를 전면 조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앞서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전날 “월성원전 지하수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됐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라며 “1년 넘게 월성원전을 감사해놓고 사상 초유의 방사성 물질 유출을 확인하지 못한 감사원의 감사 결과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는 문재인 정부에서 이뤄진 월성원전 조기 폐쇄 결정이 경제성뿐 아니라 안전성 등을 두루 고려한 것인데도 감사원 감사와 검찰 수사가 이어진 것은 부적절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

박성중 간사 등 국민의힘 소속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들이 1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월성원전 수사 물타기 규탄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민주당은 월성원전 수사 물타기와 조직적 가짜뉴스 퍼트리기를 중단하라”고 맞대응했다.

이들은 국회 소통관에서 발표한 성명서에서 “검출된 삼중수소는 원전 시설 내 특정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검출된 것으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았고, 회수되어 액체폐기물 처리기준에 따라 처리되었다”며 “바나나 6개, 멸치 바나나 6개, 멸치 1그램(g) 수준의 삼중수소를 괴담으로 유포하여 원전수사에 물타기하려는 저급한 술수를 멈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광우병 시즌2가 시작되었다. 여당은 원전 국정농단 행위를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성명서 발표 뒤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 이낙연 대표도 사실을 호도하는 부분이 많다. 앞으로 시시비비를 가리는 형태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전날 “월성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이 지정된 배출경로가 아닌 지하로 유출되고 있지만, 한수원은 유출 원인을 제대로 밝히지 않고 있다”며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민관합동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바로가기 : “월성원전 방사능 유출, 민관합동조사 실시해야”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8213.html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코로나19 기사 보기▶전세 대란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