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차전지, 코로나 뚫고 작년 생산·수출·내수 '트리플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출은 5년 연속 신기록…올해도 성장세 지속

연합뉴스

전기차 배터리 (PG)
[이태호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도 국내 이차전지 생산·수출·내수가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지산업협회에 따르면 2020년 이차전지 산업은 생산 23조3천억원, 수출 7조2천억원, 내수 5조3천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2019년과 비교해 생산은 20.0% 늘었고 수출은 2.9%, 내수는 11.6%씩 확대됐다. 특히 수출은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신기록을 경신했다.

세계 전기차(EV)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뚜렷했다.

이차전지 전체 생산 규모 23조3천억원 중 리튬이온배터리가 20조6천억원을 차지한다.

리튬이온배터리 수출은 2019년 1조1천억원에서 지난해 1조3천억원으로 10.6% 늘었다. 내수 역시 국내 전기차 생산 증가(33.8%↑)에 따라 수요가 함께 확대됐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006400], SK이노베이션[096770] 등 국내 주요 이차전지 생산업체의 시장 점유율도 높아졌다.

작년 11월 기준 3사의 시장 점유율을 합친 규모는 34%로, 2019년 16%의 2배가 넘는다.

올해 전망도 밝다.

유럽,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의 친환경 정책 영향으로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전방산업 시장이 커지면서 이차전지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올해 이차전지 생산은 31조원, 수출은 70억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32.0%, 5.7% 늘어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내수 규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현대 E-GMP) 및 신모델 출시 효과로 19.8% 증가한 6조3천억원으로 예상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시장 경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당분간은 한국, 중국, 일본의 상위 6개 기업 중심 체제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차전지 생산·수출·내수 추이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이날 이차전지솔루션 기업 미섬시스텍을 방문해 임직원을 격려하고 이차전지 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의지를 강조했다.

미섬시스텍은 이차전지 검사장비를 시작으로 이차전지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배터리팩을 생산 중이며 최근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체형 플랫폼용 배터리팩 개발을 완료했다.

배터리 교체형 플랫폼은 전기이륜차, 전기자전거, 킥보드 등 퍼스널 모빌리티(개인형 이동수단) 배터리를 공용 충전설비를 이용해 안전하게 충전하고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박 차관은 "모빌리티를 비롯해 가전, 로봇, 드론 등 다양한 분야의 수요가 커지면서 이차전지 산업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산업 활성화를 위해 기술개발·실증, 안전성 기술, 표준화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차전지 생산기업 방문한 박진규 차관
(서울=연합뉴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18일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이차전지 생산기업 '미섬시스텍'을 방문해 관계자들과 제조 현장을 살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bryoo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